순항미사일 이어 탄도미사일…北, 도발 수위 높이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최근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이번에는 탄도미사일까지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시선을 끌기 위한 도발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앞으로 대미 도발 수위가 점점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것이 탄도미사일이 맞다면, 이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첫 탄도미사일 도발입니다.<br /><br />한미 군 당국이 북한의 중단 요구에도 연합훈련을 강행하고, 최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북한 당국의 아픈 부분인 인권 문제를 직접 비판한 데 대해 행동으로 대응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난 일요일 발사한 순항미사일에 비해서는 도발 수위가 높지만, 단거리여서 아직은 '저강도' 도발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이 8차 당대회 이후 어느 정도 내부 정리가 끝난 만큼 이번 저강도 무력 시위를 시작으로 점차 대미 압박 수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 "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강경으로 갈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북한의 입장에서는 더이상 기다리지 않고 미국에 압박을 가하는 '벼랑 끝 외교'로 돌아섰다고 판단됩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가 최종 단계인 상황에서 북한은 지금이 미국을 압박할 마지막 타이밍이라고 판단했을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순항미사일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미국의 시선을 끌기 위해 도발 수위를 조금 더 높인 게 아니냐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대미 도발은 알래스카 담판 이후 미중 갈등 심화에 비례해 북·중 협력이 가속화되는 정세와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최근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구두 친서를 교환하면서 양국의 밀월관계를 부각했습니다.<br /><br /> "적대 세력들의 전방위적인 도전과 방해 책동에 대처하여 조·중 두 당, 두 나라가 단결과 협력을 강화할 데 대하여 강조하시었습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윤곽이 드러나고, 대북 압박을 강화하면 이미 '강 대 강' 대미 원칙을 밝힌 북한은 도발 수위를 점차 높이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와 같은 고강도 무력 시위로까지 이어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