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는 국민들을 분노하게 한 LH 한국 토지주택공사를 해체 수준으로 혁신하겠다고 약속했죠. <br> <br>하지만 핵심 기능은 그대로 두고, 개발 후보지를 발굴하는 역할만 국토부에 옮기는 것으로 검토중입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정세균 / 국무총리(지난 11일)] <br>"LH를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, 그야말로 해체 수준의 환골탈태하는 그런 혁신을 추진하겠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호언장담과 달리 개발 후보지를 발굴하는 택지 조사 기능만 국토부로 넘기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. <br><br>신도시와 공공주택지구 지정 전 후보지를 발굴하는 작업이 택지 조사인데 <br> <br>정부는 이번 의혹 상당수가 여기서 정보가 유출됐다고 보고 있는 겁니다.<br><br>또 비대해진 조직을 줄이기 위해 투기와 무관한 임대주택 같은 주거 복지만 떼어낼 계획입니다. <br> <br>결국, LH의 핵심인 토지 개발과 주택 공급 조직은 그대로 유지되는 겁니다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] <br>"LH 사태 관련 부동산 투기근절 및 재발방지대책은 오늘 마지막 협의 및 당정협의 등을 거쳐 다음 주 초반 3월을 넘기지 않고 발표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이번 혁신안으로 국민 신뢰 회복이 가능할지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LH는 지난주부터 직원들에게 개인정보이용 동의서를 다시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3기 신도시로 국한됐던 지난번 전수조사와 달리 지역 제한 없이 <br> <br>앞으로 1년간 직원 본인과 직계존비속의 부동산 거래내용을 모두 살펴보겠다는 내용입니다.<br> <br>다음 달 15만 호 규모 신규 택지 발표를 앞두고 사전 조사를 하는 겁니다. <br> <br>현재 하남 감북과 김포 고촌, 고양 화전 등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데 <br> <br>만약 여기서도 투기 의심자가 나온다면 <br> <br>LH 혁신은 물론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도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