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5백 년 전 조선 '댕댕이', 일본을 사로잡다 / YTN

2021-03-26 5 Dailymotion

고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 문화예술은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조선 시대 일본 화단에 큰 영향을 미친 조선 강아지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, 16세기, 이암作, 국립중앙박물관] <br /> <br />5백 년 전 이암이 그린 어미 개와 강아지입니다. <br /> <br />강아지 두 마리는 앞다퉈 어미 젖을 빨고, 한 마리는 어미 등에서 잠에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[, 16세기, 이암作, 삼성미술관 리움] <br /> <br />꽃나무 아래 강아지들이 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0여 년 전, 애견가 이건희 회장이 일본에서 건너온 사진을 보고 반해서 구입 했습니다. <br /> <br />꽃나무와 새는 윤곽선과 털을 자세히 그렸지만 강아지는 먹물 농도를 달리해 몽실몽실 구름처럼 그렸습니다. <br /> <br />세종대왕의 고손자인 이암, 동물과 꽃을 잘 그렸고, 임금 초상화도 그릴 정도로 사실적 묘사에 강했지만 유독 강아지는 편하게 그렸습니다. <br /> <br />[고연희 / 성균관대 교수 : 왜 이렇게 그렸을까 싶을 정도로 먹을 이렇게 뭉개면서 그려놨는데요. 이 부분이 뭔가 우리의 심성에 푸근히 담기는 그런 독특한 귀여움, 이런 것을 선물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 같고요….] <br /> <br />유키오 리핏 하버드대 교수는 한국미술사학회 주최 국제학술대회에서 17~18세기 일본 에도시대 선종 확산과 맞물려 이암의 그림이 많은 영향을 줬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개에게도 불성이 있는지를 묻는 화두를 담은 에도 시대 일본 그림들입니다. <br /> <br />이암 특유의 강아지 화법이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18세기 일본 화가가 그린 강아지는 이암의 강아지와 생김새, 자세까지 빼닮았습니다. <br /> <br />[유키오 리핏 / 미국 하버드대 교수 : 이암의 화법은 일본 (린파의 번짐 기법인) 타라시코미 기법의 기원이 됐다고 생각합니다. 이 기법은 번짐 때문에 불분명하고 모호하게 대상이 표현되기 때문에 일본 선종 화두의 주인공인 개를 그리는 최적의 기법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세상이 불안할수록 더욱 사랑스럽게 보이는 이암의 강아지, <br /> <br />알고 보면 일찍이 한류 주역 중 하나였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[s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32704302546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