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중국 1/3 덮친 거대 황사, 하루 만에 우리나라까지 / YTN

2021-03-29 13 Dailymotion

이번 황사는 우리나라에 앞서 어제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본토의 거의 3분의 1을 뒤덮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황사의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강도도 세졌는데 앞으로도 추가로 발생할 것이라고 중국 기상 당국은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토요일, 중국과 몽골의 국경에 위치한 기차 역입니다. <br /> <br />국경임을 알리는 통상구 건물 위에 내걸린 깃발이 뿌연 모래 먼지에 가렸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북부 네이멍구의 드넓은 초원은 1km 앞도 볼 수 없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흐릿하게 보이는 말들의 윤곽만이 이곳이 초원임을 짐작하게 합니다. <br /> <br />인근 도시들은 한낮이 밤중처럼 어두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차량은 물론이고 외출하는 사람들조차 거의 보이 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10년 만에 최악의 황사를 겪은 수도 베이징도 2주 만에 다시 짙은 황사에 잠겼습니다. <br /> <br />모래바람이 들이닥치면서 미세먼지 농도는 최고 세제곱미터 당 3천 ㎍/㎥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주말 베이징뿐 아니라 중국 본토의 거의 3분의 1 정도가 거대한 황사로 뒤덮였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관영 CCTV 보도 : 베이징,톈진,허난 북부, 산둥, 랴오닝 중서부, 길림 서부, 헤이룽장 남부 등 15개 성이 황사나 먼지가 영향을 받았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에서는 올해 들어 이번까지 벌써 7번의 황사가 관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예년의 5.3회보다 횟수도 늘어났고 강도도 세졌습니다. <br /> <br />발원지인 몽골과 중국 북서부에 지난 겨울 눈이 적게 내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[라오샤오친 / 중국기상국 환경기상센터 선임 엔지니어 : 겨울에 몽골과 중국 북서부에 강수량이 적었고 기온이 높아져 지표가 푸석푸석해지면서 황사 물질의 조건이 좋아지고 발생에 유리해졌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봄철에는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만나 면서 강력한 바람이 자주 만들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도 황사는 강한 북서풍을 타고 중국을 통과 한 지 하루 만에 우리나라 쪽으로 들이닥쳤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중국에서는 모래 먼지가 대부분 걷히고 공기 질도 정상을 되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기상 당국은 발원지의 건조한 날씨 때문에 다음 달에도 황사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32923283321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