컨테이너선에 막혔던 수에즈 운하가 일주일 만에 운항이 재개되면서 이제 관심은 천문학적인 배상 책임을 누가 지게 될 것인가로 옮겨 갔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원인에 따라 책임이 갈리기 때문에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여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좌초된 초대형 컨테이너선 '에버 기븐호'의 인양 작업이 일주일 만에 성공했지만 그간 4백여 척의 선박이 발이 묶이는 등 피해액은 천문학적입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교역량의 12%를 차지하는 수에즈 운하가 막히면서 해운 산업 전체가 입은 피해는 70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[가이 플래튼 / 국제 해운협회 사무총장 :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화물의 액수는 연간 1조천억 달러(1,250조 원), 매일 30억 달러(3조4천억 원)입니다. 1년에 선박 만8천 척, 하루에 50척 정도가 운하를 이용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에버기븐호의 소유주는 일본 선사 쇼에이 기센이지만 등록된 국가는 파나마입니다. <br /> <br />독일 선박 관리기업 베른하르트 슐테가 선박을 관리했고, 대만의 에버그린해운이 에버기븐호를 전세 내 운용하다 사고가 났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원인이 선체결함이냐 선장의 실수냐에 따라 책임 소재가 갈리기 때문에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일단 사고 당시 불었던 강풍이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가토 가쓰노부 / 일본 관방장관 (지난 25일) : 현지 당국과 보도에 따르면 선박이 강풍 때문에 좌초된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반면 수에즈 운하를 운영하는 이집트는 운하가 안전하다며 선장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이번 사고로 인한 손실 보상과 예인선 사용료 등 모든 비용을 선주인 일본 쇼에이 기센에 청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술적 결함 가능성에 대해 독일 선박 관리기업은 "초기 조사에서 어떤 기계적 또는 엔진 결함도 없다"고 말했는데, 최초 보고서에는 사고 당시 '정전'이 있었다고 기재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원인이 한꺼번에 나타났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. <br /> <br />날씨와 인재, 기술적 결함 중 어느 한 가지만으로 사고가 발생했다면 이런 일이 더 자주 일어났어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라스 젠슨 / 덴마크 물류 컨설팅 업체 대표 : 내기를 한다면 저는 여러 원인이 동시에 발생했다는 데 돈을 걸겠습니다. 만약 그중 하나만 원인이었다면 이런 사고가 상당히 빈번히 나타났을 것이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33018530169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