막오른 내년 최저임금 심의…노사 입장차 진통 예고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최저임금은 시급 기준으로 8,720원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가파르게 올랐던 최저임금은 최근 2년 사이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내년 최저임금을 정하기 위한 심의 절차가 시작됐는데, 벌써부터 노사 간 입장차가 팽팽해 진통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고용노동부가 최저임금위원회에 내년에 적용될 최저임금 심의를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2022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본격화된 것입니다.<br /><br />현 정부 들어 최저 임금 인상률을 보면 2018년엔 16.4%, 2019년 10.9%로 고공 행진했지만, 지난해엔 2.9%, 올해는 1.5%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최저임금 제도 시행 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코로나로 저임금 노동자의 고통이 가중됐다며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문재인 정부의 '최저임금 1만 원' 공약을 실현할 마지막 기회인 만큼 물러서지 않겠단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 "내년도 최저임금 (인상률이) 5.5% 이하로 떨어지면 박근혜 정부 평균치보다도 떨어지게 됩니다. (최저임금 1만 원) 공약을 지킬 수 있게끔 민주노총과 연대해서 관철시키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반면 경영계는 현 정부 초기 과속 인상의 여파가 아직 남아 있고, 코로나 위기로 최저임금의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노사 대치 속 첫 관문은 공익위원 인선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최저임금위는 노사와 공익위원 각 9명씩 모두 27명으로 구성되는데, 노사 대치 구도 속 핵심 키를 쥔 공익위원 8명의 임기가 오는 5월 종료됩니다.<br /><br />노동계에선 공익위원 추천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전원 교체를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원회 구성부터 진통이 예상되는 가운데, 심의 시한인 6월 말까지 합의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(ba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