드론 타고 서울서 대구까지…무인 비행체 상용화 박차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날아다니는 자동차가 이제 곧 현실이 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14년 뒤 도심뿐 아니라 도시 간 이동도 무인비행체로 가능하도록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내놨는데요.<br /><br />소재형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헬리콥터와 비행기를 반반 섞어놓은 듯한 모습의 무인비행체가 무인 버스에서 환승한 승객들을 싣습니다.<br /><br />이내 하늘로 날아오르고, 도심 곳곳으로 빠르게 승객들을 운송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CES에서 현대차가 공개한 UAM, 무인 항공 모빌리티입니다.<br /><br />20년 뒤 관련 산업은 지금의 항공기 시장에 육박하는 731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도 4년 뒤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형 도심 항공교통, K-UAM 기술로드맵을 확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하루 약 15만 명의 이용 등 시장의 급격한 팽창이 전망되면서 미래 경쟁력 있는 성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해 나갈 필요가 있겠습니다."<br /><br />성숙기에 접어드는 2035년에는 배터리 용량이 늘고 기체가 가벼워지면서 최대 비행거리는 서울에서 대구까지의 거리인 300km에 이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최대 속도도 시속 300km로 현재 운행 중인 KTX만큼 빨라지게 됩니다.<br /><br />승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게, 공항 역할을 하는 버티포트가 전국에 50개가량 구축되고, 200여 개 노선에서 운항하게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특히, UAM이 상용화하면서 기체 가격과 이용료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기체 1대의 가격은 7억5,000만 원 수준까지 내려가고, 운임도 1km당 1,300원으로 책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한편, 충돌회피 기술 고도화와 전문인력 양성 등 사회적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