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얀마 민주진영 통합정부 출범…내전 가능성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군부 쿠데타 이후 두 달 넘게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미얀마에서 민주 진영이 국민통합정부 출범을 공식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소수 민족들과 연대해 군사 정권에 맞서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미얀마 민주진영 측이 국민통합정부 출범을 선언하며 본격적인 행동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군부가 쿠데타 이후 시위대의 요구를 무시한 채 강경 진압을 이어가자 이에 맞서기 위한 세력을 규합한 겁니다.<br /><br />당장 과도 헌법을 선포하며 군부와 선 긋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과도 헌법엔 독재 청산과 문민정부 출범 등 목표로 하고 있으며, 소수민족 자치 요구 부응 노력 등 내용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군부의 정치 개입에 유리한 독소 조항도 많다는 지적을 받아온 2008년 헌법은 폐기됐습니다.<br /><br />기존 헌법의 경우 의회 의석의 1/4을 군부에 사전 배당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3/4이 넘는 찬성이 필요한 헌법 개정은 불가능했습니다.<br /><br />사사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위원회 유엔 특사는 2008년 군사정권 시절 제정된 헌법은 종말을 고하고 더는 유효하지 않다면서 새로운 날이 시작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소수민족 무장단체와의 연대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군부에 맞설 동력도 갖추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미얀마에는 20개 소수민족 무장단체가 있는데, 이들의 병력은 7만5천 명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 민족 반군 무장 단체들이 국민을 보호하고 있는 반면 미얀마군은 국민을 해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기존 시위대까지 가세할 경우 전면적인 내전 양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미얀마 특별대사를 비롯해 국제사회가 연일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는 가운데,<br /><br /> "군부의 폭력은 절대 용납할 수 없습니다. 국제사회의 강력한 메시지가 필요합니다."<br /><br />미얀마 군부가 내외부의 압박에 직면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