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가 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가, 재조사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작년에는 조사 개시를 결정했다가, 여론의 역풍을 맞자 뒤집은 겁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천안함 폭침 원인을 재조사해달라는 진정에 대해 진상위는 회의 시작 30분 만에 만장일치로 각하 결정했습니다. <br><br>진상위는 각하 이유에 대해 "진정인 신상철 씨가 천안함 사고를 목격했거나 목격한 사람에게 그 사실을 직접 전해듣지 않았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한마디로 진정인 자격이 없다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, 진상위는 지난해 12월만 해도 "사망원인이 명확하지 않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된다"며 조사개시를 결정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신상철 / 전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(지난 2017년)] <br>"만약에 제가 주장한 것처럼 조작된 것이고 북한을 살인범으로 만들어놨다고 한다면…북한에 대해서 사죄해야 합니다." <br><br>군 안팎에선 선거를 앞두고 비난 여론이 확산되자 진상위가 백기를 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4·7 재·보궐선거를 앞두고 청와대의 의중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, 대통령 직속기관이 천안함 재조사 의지를 내비쳤다는 점에서 논란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지난해 12월 진상위로부터 이런 사실을 통보받고도 장관에게 보고하지도 않았고, 유족 측에 알리지도 않았습니다. <br> <br>한편, 진상위원장과 1명 뿐인 상임위원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, 민변 출신입니다. <br><br>천안함 폭침이 발생한 지 11년, 재조사 진정은 없던 일이 됐지만 유족들에겐 또다시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