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훈 "북미협상 조기 재개 필요성 공감"…종전선언도 논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일 3국 안보실장이 미국에서 협의를 갖고 북 비핵화를 위해 협력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서훈 청와대 안보실장은 북미 협상이 조기에 재개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었다고 전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한미일 3국의 안보실장이 조 바이든 정부 들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워싱턴 디시 인근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린 이번 협의는 미일 회담을 시작으로, 한미, 한일, 한미일 회담까지 온종일 이어졌는데요.<br /><br />백악관은 그간 진행된 대북정책 검토 내용과 미국이 파악한 북한 정세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고 한일 안보실장은 그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습니다.<br /><br />서훈 청와대 안보실장은 유익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평가하며 특히 3국이 북미협상 조기 재개의 필요성에 공감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미일 안보실장들은 대북협상 위한 대책 마련 및 시행과 관련된 여러가지 문제에 대해서 심도있는 토론을 가졌습니다. 한미일은 북핵 문제의 시급성과 외교적 해결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고, 북미 협상의 조기 재개를 위한 노력이 계속 되어야한다는 데 대해서 뜻을 같이 하였습니다."<br /><br />또 남은 검토 과정에서도 우리 측과 계속 소통하고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3국은 북미 협상 재개를 위해선 특정한 조건보다는 준비가 됐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비핵화 협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비핵화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관여의 중요성, 한미 간 조율된 전략의 마련 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<br /><br />종전선언을 포함해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정부가 대북 정책 검토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이번 협의 내용이 반영된 결과물이 이달 말쯤에는 공개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백악관도 협의 이후 3국의 입장을 담은 언론 성명을 발표했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의 비핵화와 관련, 3국 간 협력을 통한 공동대응 의지를 재확인했다며 북한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유엔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이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협의에선 대북정책 조율 외에도 반도체 공급 관련 논의를 비롯해 다양한 현안이 논의됐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서훈 안보실장은 3국이 다양한 관심사에 대해 전략적 소통이 이뤄진 자리라고 평가했는데요.<br /><br />반도체 공급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12일 이 반도체 칩 고갈 상황에 대한 대책 논의를 위해 한국의 삼성전자를 포함한 관련 기업들을 백악관으로 초청했을 정도로 상황을 심각하게 여기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사실상 반도체 문제를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로 보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국제적 흐름과 미국, 중국 등 여러 나라의 입장을 세심히 파악해 미리 대처하겠다는 판단 아래 미국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4월 개최 가능성이 거론되는 한미 정상회담 시기와 관련해선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