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사전투표가 끝났는데 투표율 20.5%로 역대 재보궐 선거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.<br><br>이번 선거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는 것 같은데요. <br> <br>정치부 송찬욱 기자와 이 사전투표율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. <br><br>1. 오늘은 각 자치구별 사전투표율을 분석해봤다고요. 어느 구가 가장 높았나요? <br><br>지난 2018년 서울시장 선거와 비교해 봤는데요. <br> <br>우선 25개 자치구 모두 투표율이 높아졌습니다. <br><br>그 가운데 종로가 가장 높았고, 동작, 송파 순으로 높았습니다. <br> <br>가장 투표율이 낮은 곳은 금천이었고, 중랑, 동대문 순으로 낮았습니다. <br> <br>종로구는 선거 때마다 사전투표율이 높은 구로 전통적으로 정치에 관심이 많은 지역입니다. <br><br>2. 자치구별 사전투표율에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?<br> <br>지난 2018년 서울시장 선거와 비교했을 때, <br><br>사전투표율이 가장 크게 오른 지역은 송파구 입니다. <br> <br>가장 최근 선거인 지난 총선 때 정당 득표율로 보면 민주당과 국민의힘 1%포인트 차이 박빙인 곳이었습니다. <br><br>진영간 싸움이 이번에 더 치열해졌다, 이런 해석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성북과 서대문 등 민주당 우세 지역 강남과 서초 등 국민의힘 우세 지역 모두 3.5%포인트 이상 투표율이 오른 것을 봤을 때 양당 지지층이 그 어느 선거 때보다 결집하고 있다. 이런 분석도 있습니다.<br><br>3. 여야가 박빙의 선거를 치르고 있는 건 맞는 것 같네요. 이런 와중에 선거관리위원회의 공정성이 자주 논란이 되고 있어요. 이번에는 '내로남불' 이 단어가 논란이네요?<br> <br>국민의힘 투표 독려 현수막에 '투표가 내로남불을 이깁니다'라는 문구를 쓰기 위해 선거관리위원회에 문의했습니다. <br><br>선관위는 선거법 90조에 따라 '특정 정당을 쉽게 유추할 수 있거나 반대하는 것으로 보이는 표현'은 쓸 수 없다며 사용 불가 판정을 내렸습니다.<br> <br>내로남불이 민주당을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단어라는 건데요. <br> <br>국민의힘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김예령 / 국민의힘 대변인] <br>"친여 성향 판사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출신 선관위원장과 문재인 대선캠프 출신 상임위원이 장악한 선관위, 누가 이 선관위를 <br>선관위라 부르겠습니까." <br><br>4. 이게 무슨 얘기죠? 이런 결정이 내려진 게 중앙선관위 구성 때문이라는 건가요? <br><br>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체위원회의가 선거법 위반 여부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데 이 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해 모두 9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. <br><br>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진보 성향, 조해주 중앙선관위 상임위원은 문재인 캠프에 특보로 이름을 올린 바 있습니다. <br> <br>일반 위원까지 합치면 여당 성향이 7명, 야당 성향이 2명이기 때문에 공정성 문제가 생긴다는 게 야당 주장입니다.<br> <br>중앙선관위 전체위원회의는 기본적으로 합의제로 운영됩니다. <br><br>5. 이들이 이번 결정에 관여를 한 건가요?<br><br>이번에 전체위원회의를 한 건 아닙니다. <br> <br>지난해 4월 총선을 이틀 앞두고 전체위원회의 결정 기준으로 서울시선관위가 해석을 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야당의 '민생파탄'과 여당의 '100년 친일 청산' 투표 독려 문구를 불허했는데 이를 기준으로 삼았다는 겁니다. <br><br>선관위는 이번 선거에서 '거짓말하는 일꾼 투표로 걸러내자' 등 문구도 불허했다며 불공정 논란에 대해 억울하다는 반응입니다.<br><br>6. 선관위는 억울하다고는 하는데 최근에 논란이 많았던 건 사실인 것 같아요?<br><br>한 시민단체의 '보궐선거 왜 하죠?'라는 현수막에 대해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한 반면, 교통방송이 숫자 1을 활용한 '1합시다' 캠페인에 대해 선거법 위반이 아니라고 한 게 대표적입니다.<br> <br>문 대통령이 부산시장 선거 현안인 가덕도 신공항 현장을 방문한 것에 대해서도 국회에서 문의가 들어오자 중앙선관위에서 "직무상 행위"라고 해석했습니다. <br><br>7. 이렇게 불공정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선관위 직원들이 책임보험을 가입했다는 소식도 있더라고요?<br><br>불공정 논란이 나중에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세금으로 보험을 들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에 대해 선관위는 단속 현장에서의 다툼이 고소고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도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이미 공무원 40만 명이 이 같은 보험에 가입해있다고 덧붙였습니다.<br> <br>지금까지 정치부 송찬욱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