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] <br />해외 유입 사례는 18명으로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0만 6230명입니다. 총 검사건수는 8만 9731건이며 이 중에 수도권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3만 7261건의 검사가 이루어져서 45명의 확진자를 발견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신규로 463명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115명이 격리 중입니다. 위중증환자는 어제보다 15명 증가한 112명이고 어제는 네 분이 돌아가셨습니다.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께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 <br /> <br />어제 발생한 코로나19 개별 사례에 대해서는 금일 보도 참고자료로 갈음토록 하겠습니다. 오늘 사업장 중심의 집단발생 관련 유형별 현항과 위험요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사업장 관련 집단감염 발생은 총 161건으로 관련 확진자는 3462명이 발생하였으며 집단 사례 1건당 관련 확진자는 21명~24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발생 추이를 보면 1월에 41건 844명, 2월에 60건, 1408명, 3월에 60건, 1210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이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업종은 제조업으로써 1월부터 3월까지 총 54건, 1280명이 발생하여 전체 집단발생 중 37%를 차지하였고 서비스업, 육가공업, 도소매업 관련 순으로 집단감염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사업장 집단발생 사례로는 충북 충주시의 육가공업장 관련해서 68명, 경기도 안성시 축산물 공판장 관련 140명이 발생하였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플라스틱 공장 관련 집단감염으로 200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외에도 서울 광진구 음식점 관련 82명, 경기도 광주시 재활용 의료선별업 관련 20명의 집단감염이 발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육가공업은 유행 1건당 환자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산업 규모에 대비해서도 환자 발생 빈도가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지표환자는 대부분 해당 사업장의 종사자였고 이후 동료 그리고 가족, 지인 등에게 추가 전파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증상 발생 이후에도 업무를 계속하거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것 그리고 환기가 불충분하고 밀폐된 작업환경, 공용 공간을 이용하는데 또는 공용 기숙사 생활 중에 기본 방역수칙 준수가 미흡한 것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업주와 사업장 관리자께서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감염병 예방교육과 함께 사업장 내 주기적인 환기와 소독 그리고 마스크 필수 착용 등 방역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040614132926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