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과반을 차지한 17대 총선 직후. <br /> <br />2004년 6월 재보선은 열린우리당 참패와 함께 참여정부 내리막길의 시작으로 기록됩니다. <br /> <br />검찰 조사를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안상영 부산시장과 박태영 전남지사, 선거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한 우근민 제주지사, 국회의원에 나오면서 직을 던진 김혁규 경남지사, 이렇게 네 자리를 뽑았는데요. <br /> <br />34%의 낮은 투표율을 보인 당시 선거에서 광역단체장 네 곳은, 한나라당 3곳과 새천년민주당 1곳, <br /> <br />모두 야당이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물러난 민주당 이광재 강원지사의 자리는 다시 민주당 소속 최문순 지사에게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광재 지사 비판론보다 이명박 정권 심판론이 더 거셌던 결과, 또 한 번 여당의 패배였습니다. <br /> <br />정권 심판론 속에 이번엔 오세훈 시장이 던진 무상급식 승부수가 정권에 부메랑으로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25개 구 가운데 21개 구가 보여준 민심은 반여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2년 12월 19일, 박근혜-문재인 대결로 펼쳐진 대선과 같은 날 경남지사 재보선이 함께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선 후보의 러닝메이트 격이었던 당시 선거에서 여당인 한나라당 홍준표 후보가 무소속 권영길 후보를 이깁니다. <br /> <br />4당이 총집결한 야당을 물리친 승리였고, 결국 그 날 대선의 승자도 한나라당 박근혜 후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광역단체장을 다시 뽑는데 여당이 최초로 승리한 단 한 번의 사례는 이렇게 특이한 상황에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집권당이 유독 힘을 못 썼던 광역단체장 재보궐 선거. <br /> <br />내년 대선과 지방선거의 전초전 성격을 띠는 이번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은 어떤 결과로 이어질까요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40706272012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