막내린 13일의 열전…네거티브 늪에 빠진 선거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3일 간의 선거운동 기간 후보들은 '부동산 문제 해결' 등을 시급한 과제로 떠안고 야심차게 선거전에 뛰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작 각 지역의 부동산 현안이나 정책보다는, 상대 후보의 부동산 의혹을 파고들며 공방전을 벌이기 바빴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시민들의 기억 속엔 네거티브 공방전과 진흙탕 싸움만 남게 됐다는 지적인데요,<br /><br />박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각각 범여권과 범야권 단일화를 거쳐 서울시장 자리를 두고 맞붙게 된 박영선, 오세훈 후보.<br /><br />'합니다 박영선'과 '첫날부터 능숙하게'라는 구호 아래 '정책 대결'을 다짐하며 선거전에 뛰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 "이제 서울시민을 위해 그동안 축적했던 경험을 온 몸을 다바쳐서 헌신하겠습니다. 여러분"<br /><br /> "서울시 전체가 고루고루 삶의 질을 느끼는 그런 미래 도시 반드시 만들어 내겠습니다. 도와주십쇼"<br /><br />후보와 캠프뿐만 아니라 당 내 모든 인력과 조직을 총동원한 총력전이 벌어졌는데,<br /><br />여권은 이른바 '반성·읍소'전략을 펴며 지지를 호소했고, 야권은 '정권 심판론'을 내세우며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희들의 부족함을 꾸짖으시되, 지금의 아픔을 전화위복으로 만들려는 저희들의 혁신 노력마저 버리지는 말아주시길…"<br /><br /> "이번 선거, 심판입니다. 전임 박원순 시장, 그리고 문재인 정권 심판하는 선거입니다. 동의하시죠?"<br /><br />예기치 못한 돌발변수도 터져나왔습니다.<br /><br />여권 인사들의 과거 임대차 3법 시행을 앞둔 '전셋값 인상'은 성난 부동산 민심에 또 다시 기름을 부어 여권의 악재로 작용했고,<br /><br />내곡동 땅 의혹과 관련한 '생태탕 집 주인의 증언', 토론회 과정에서의 '용산 참사' 발언 등은 오 후보에게 생채기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선거전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두 후보 간 토론회,, 박영선, 오세훈 후보는 13일 간 총 3차례의 토론회에서 맞붙었는데, 토론회 이후 쏟아진 언론 보도는 온통 '내곡동'으로 도배됐습니다.<br /><br /> "수사기관에서 (내곡동 땅 관련)문제를 제기했던 모든 분들이 함께 정정당당하게 수사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…"<br /><br /> "지금 이것은 협박하는 것입니다. 수사 운운하는 이런 발언은… 흥분하시는 것 같은데 조금 참아주시구요. 거짓말 콤플렉스가 생긴 것 같아요."<br /><br /> "거짓말 프레임의 도사라는 생각이 듭니다."<br /><br />여권의 '내곡동 땅 의혹' 제기에 오 후보 측도 박 후보의 '도쿄 아파트' 관련 공세로 맞불을 놓으면서, 결국 '부동산 네거티브 공방전'으로 흐른 선거전,,<br /><br />소셜 빅데이터 분석기업 '썸트렌드'를 통해 최근 한 달 간 두 후보 사이의 연관어 3개를 추리면, 서울, 시장, 내곡동이 마지막에 남는다는 결과는, 서울시민 입장에서 씁쓸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 "이겨야 됩니다. 내가 생존해야 되는, 선거라고 하는 무시무시한 경쟁의 과정에서 양쪽 다 상대방의 흠결을 파고드는, 아마 국민들의 뇌리에는 '도쿄 영선', '내곡동 오세훈' 이런 것만 남아있는 흑색선전과 네거티브가 그 어느때보다 강했다…"<br /><br />아쉬움을 남긴 채 재보궐선거전은 마무리 됐습니다. 하지만 선거는 반복해서 치러지고, 기억은 축적되며, 유권자들은 점점 더 스마트해지고 있다는 점을 정치권은 되새길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.<br /><br />(hwp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