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해 아파트 값이 치솟으면서 불안한 20, 30대의 '영혼까지 끌어모은' '패닉바잉'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당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안타깝다고까지 했습니다만, 결과적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 추이를 살펴보니 영끌족이 옳았던 셈이 됐습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성동구의 644세대 규모 아파트. <br><br>지난해 7월 전용면적 60㎡가 7억 원에 거래됐는데 지난달 초, 8억 5천만 원에 팔렸습니다. <br><br>지난해 7월은 2019년 연령별 아파트 거래 통계를 잡기 시작한 이래, 30대 이하의 서울 아파트 매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때였습니다.<br> <br>당시 김현미 전 국토부 장관은 20, 30대의 패닉바잉에 대해 안타깝다며 우려를 표시했습니다. <br> <br>[김현미/ 전 국토부 장관 (지난해 8월 국토위)] <br>"30대 영끌하는 매수세… 법인이 내놓은 물건들을 비싼 가격에 30대가 사준 게 아닌가 하는 이런 굉장한 안타까움이…" <br> <br>김 장관이 안타까워 했던, 당시 '영끌'로 집을 매수했던 젊은 층은 후회 없는 투자였다고 얘기합니다. <br> <br>[박모 씨/ 30대 남성] <br>"4억에 자본금은 5천 만원이었고 나머지는 대출로…지금은 6억 7천까지. 1채 겨우 사는 거잖아요. (매수)자체를 터부시하는 거에 대해서 좀 우습다고 생각했었거든요" <br> <br>[김모 씨/ 30대 남성] <br>"그동안 너무 많이 올라서 앞으로도 오르면 이젠 기회가 없을 것 같다는 불안감에. 장기적으로 살 집을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이 컸고요. 저는 너무 만족합니다." <br><br>실제로 지난 8개월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5% 넘게 올랐습니다. <br> <br>[이은형/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] <br>"연령대가 낮은 분들이 집을 사기 위해서는 서울에서 가격대가 저렴한 지역이나 소형 평수들 수요가 계속 발생할 겁니다." <br> <br>최근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공시가격 급등으로 보유세도 높아졌지만 실수요 위주의 20, 30대 매수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영재 <br>영상편집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