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온난화로 봄이 더 따뜻해지면서 불청객 꽃가루도 예년보다 빨리 시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꽃가루는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뿐 아니라 결막염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. <br /> <br />꽃가루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는지 정혜윤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꽃이 피고 기온이 오르는 4월은 봄기운이 더 완연해지는 시기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초순까지는 봄꽃이 절정에 달하며 화려한 계절이 최고조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 봄꽃이 진 뒤에는 불청객 꽃가루가 본격적으로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꽃가루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코나 눈, 면역체계에 작용해 이상 반응을 일으키는데, 주로 코막힘과 비염, 재채기, 천식·결막염 등을 유발합니다. <br /> <br />꽃가루는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꽃이 아닌 나무에서 나옵니다. <br /> <br />봄철 꽃가루의 주범은 도심 가로수나 공원의 주요 수목인 삼나무, 참나무, 자작나무입니다. <br /> <br />나무가 번식을 위해 꽃을 피우고 거기서 나온 꽃가루가 바람에 날려 퍼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봄철 꽃가루는 5월에 최고조에 달했지만, 최근에는 기온 상승으로 인해 발생과 절정 시기가 4월로 점차 옮겨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손성원 / 국립수목원 박사 : 침엽수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는 대개 5월 한 달을 절정기로 보고 있습니다. 하지만 최근 온난화 영향으로 지난 10년간 산림에서 관찰되는 침엽수 꽃가루 날림 시작 시기가 약 보름 정도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] <br /> <br />이로 인해 기상청도 4월부터 6월까지 '꽃가루농도 위험지수'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 매일 위험 수준을 알려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[김규랑 /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관 : 참나무, 소나무, 잡초류 이 세 가지 꽃가루는 전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예보 모델을 만들어 꽃가루 농도 위험 지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꽃가루 농도는 바람이 많이 부는 오후보다는 오전 시간에 더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들은 아침 야외 운동이나 오전 외출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1041105331814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