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기의식에 극적 합의…갈길 먼 K배터리 과제 산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배터리 소송 갈등을 빚어온 LG와 SK가 극적 합의를 이룬 것은 위기의식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당장 내후년 100조로 시장이 커지는 등 갈 길이 먼데, 양사 간 갈등은 시장 신뢰와 경쟁력 강화에 악영향을 미쳤죠.<br /><br />앞으로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2월까지 중국 배터리업체 CATL 시장점유율은 31.7%로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까지 10%p 이상 격차를 벌였던 LG에너지솔루션은 19.2%로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LG와 SK가 배터리 다툼을 벌이는 동안 중국업체들은 약진했지만, 우리 업체들은 순위가 밀렸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중국의 각형 배터리 수요가 늘어난 것도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SK이노베이션의 분리막을 LG가 전향적으로 채용하는 게 결국 두 회사에 윈윈이 될 수 있을 것이고, (중국) 각형진영이 강력하게 나오는 마당에 (국내) 파우치 진영의 기술 표준화라든지, 소재 공동구매라든지 경쟁력 강화 필요성이…"<br /><br />양사가 극적 합의를 이루면서 글로벌 시장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은 긍정적입니다.<br /><br />SK는 기존 고객사인 폴크스바겐과 포드에 납품하는 등 미국에서 사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됐고, LG는 ITC 특허소송 등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LG는 자사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의 화재와 리콜, 보상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, SK는 최대 고객사인 폴크스바겐이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겠다고 밝히면서 고객 확보가 발등의 불입니다.<br /><br />글로벌 업체들의 배터리 자체 생산으로 주도권 경쟁에 나선데다 차세대 시장을 놓고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는 점도 대비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