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세계 백신 접종률을 비교한 그래프입니다. <br> <br>이스라엘이 61.3%로 가장 높죠. <br> <br>한국은 아직 접종률이 2.22%로, 심지어 우리보다 접종을 늦게 시작한 르완다보다 낮습니다. <br> <br>의료도 발달한 우리인데, 백신 물량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것이 문제입니다. <br> <br>집단면역을 형성하려면 70%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해야 하는데 이대로 가다가는 6년이 넘게 걸릴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어떤 분석인지 황규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2분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중단된 30세 미만 대상자는 64만 명. <br> <br>대체할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접종은 3분기로 미뤄질 가능성이 점쳐집니다. <br> <br>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11월을 목표로 하고 있는 집단 면역을 오히려 앞당기겠다고 장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] <br>"11월 집단면역이라는 당초 목표 달성은 물론, 달성 시기를 목표보다 앞당기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" <br> <br>[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] <br>"변이 바이러스용 개량 백신과 내년도 이후의 백신 확보도 서둘러야 할 것입니다." <br><br>블룸버그는 하루 평균 3만2천 명에게 접종하는 우리나라의 현재 접종속도대로라면 집단면역 형성까지는 무려 6년 4개월이 걸린다고 분석했습니다.<br><br>오는 9월까지 3600만 명이 1차 접종을 완료하려면, 단순 계산으로도 이달부터 매달 580만 명이 접종해야합니다.<br> <br>하지만 지금까지 도입이 완료된 백신은 337만 회분이 전부, 접종 속도를 내려해도 맞힐 백신이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6:20 <br>"지금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급선무인 것처럼 생각하지만, 백신이 있어야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고, 백신 확보 속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거죠." <br> <br>정부는 상반기 도입이 확정된 900만명 분, 1800만회 분량을 쪼개 1200만 명에게 1차 접종을, 나머지는 2차 접종에 사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또 당초 2분기부터 도입하기로 했던 노바백스 백신 2천만명 분 가운데 1000만명 분이 2분기 말인 6월부터 도입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2분기 도입 계획이었던 얀센과 모더나 도입은 여전히 안갯속입니다. <br> <br>채널A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강승희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