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악관이 주재하는 반도체 관련 화상회의가 삼성전자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의 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조 바이든 대통령도 참석해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에서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살펴봅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밤사이 백악관 주재로 반도체 회의가 열렸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지 시각 12일 오후 백악관 루스벨트 룸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주재했는데요. <br /> <br />안보의 실무 총책이 회의를 주재한 걸 보면, 미국 정부가 반도체를 국가안보와 직결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의에는 지나 러만도 상무장관이 참석했고 바이든 대통령도 잠시 합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 기업들은 화상으로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19개 기업의 CEO들이 초청됐는데, 우리로서는 삼성전자가 유일한 한국 기업으로 초대돼 관심이 모아졌죠. <br /> <br />이밖에 타이완 TSMC, 구글 모회사 알파벳, AT&T, HP, 인텔, GM, 포드를 비롯해 관련된 굴지의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회의의 발단은 전 세계적인 자동차용 반도체 칩 부족 사태인데, 그 배경을 좀 설명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용 반도체 칩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 업계는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판단하고 칩 주문량을 줄였다가 예상외로 자동차 판매가 선전하면서 물량 부족 사태에 직면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주요 자동차 생산 공장들이 잇따라 조업을 중단하면서 문제가 커지자, 백악관까지 나서서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최대 130만 대의 차량 생산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반도체 칩 부족 문제로, 컴퓨터, 휴대전화 등 다른 전자제품 제조사들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번 회의는 반도체 부족 사태를 해소할 방안을 모색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 보도자료를 보면 이번 회의는 미국의 일자리 계획과 반도체 공급망 확대를 포함한 경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도 잠시 합류했다고 전해주셨는데, 어떤 메시지를 내놓았는지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먼저, 23명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41308414905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