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삼성전자를 포함한 글로벌 기업들과 화상회의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공격적인 반도체 투자를 강조했는데요. <br> <br>중국과의 반도체 전쟁을 대놓고 예고한 것입니다. <br> <br>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바이든 대통령이 화상으로 열린 반도체 회의에서 갑자기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 하나를 집어듭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이 모든 것들은 인프라입니다. 이 웨이퍼가 인프라입니다." <br> <br>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미국의 자동차 공장들이 멈춰서고 일자리 문제로 확산되자 회의에 참석한 19개 글로벌 기업에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 미국이 반도체 공급을 주도하면서 기술패권 경쟁에서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도 숨기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중국과 다른 나라들은 기다리지 않습니다.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도 없습니다. 우리는 반도체, 배터리 같은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미국은 반도체를 사실상 국가 안보 문제로 다루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이달 초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서 논의한데 이어, 이번 회의도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맡았습니다. <br><br> 1990년 글로벌 시장에서 37%에 달했던 미국의 반도체 생산 비중은 12%로 줄었습니다.<br> <br> 반도체 생산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이든 행정부가 화상으로 불러모은 기업들 가운데 삼성전자도 포함됐습니다. <br><br>미국 내 170억 달러 규모 반도체 공장 추가 증설을 검토 중인 삼성전자는 반도체 매출의 30%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 전략에도 부담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[유승진 특파원] <br>"'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'에 기대는 상황이라던 우리 정부는 반도체 패권 경쟁으로 경제 분야 역시 선택의 기로에 놓였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"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 (VJ)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