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3개월 만에 처음 늘어난 일자리…고용 개선 시작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직후부터 1년 내리 줄기만 하던 취업자 수가 지난달 모처럼 늘었습니다.<br /><br />2월 중순 취해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, 그리고 지난해 3월이 코로나 타격으로 워낙 나빴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조성미 기자가 지난달 일자리 사정을 설명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1만4,000명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악영향이 본격화한 작년 3월 이후 처음 나타난 증가세입니다.<br /><br />2월 15일 시작된 거리두기 완화에다 정부의 공공 일자리 사업 효과, 지난해 3월 고용 충격의 기저효과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 "특히 숙박·음식업이라든가 교육서비스업 중심으로 지표가 개선되었고요. 정부 일자리사업 영향으로 보건복지업 등 관련 산업에서 취업자 증가가…"<br /><br />질적 측면을 떼놓고 보면 일자리는 뚜렷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15~64세 고용률이 65.7%로 0.3%포인트 올랐고 특히, 15~29세 청년층 고용률은 2.3%포인트나 뛴 겁니다.<br /><br />청년 고용률 상승은 이 연령대 인구 감소와 일자리 증가가 겹친 덕인데, 일자리를 찾는 청년도 늘어 청년실업률은 10%로, 0.1%포인트 올랐습니다.<br /><br /> "아무래도 개발자 중심의 채용이 많아지고 점점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이런 식으로 고용 형태가 많이 바뀐 것 같아요. 저는 원래 기획자로 채용됐었는데, 직무를 변경해서 (지원을)…"<br /><br />하지만 2월보다 나아졌다고 해도 도소매업 같은 대면서비스업의 고용 한파는 이어졌고 그렇다 보니 이 분야의 비중이 큰 직원 있는 자영업자가 9만명 넘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"일자리 상황이 개선되고 있고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"이라고 낙관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코로나 4차 대유행 가능성은 여전히 일자리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