울산서 병원 집단감염…부산 유증상자 진단검사 행정명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700명대로 급증한 가운데 비수도권 지역의 발생비율도 30%에 이르고 있어 우려가 큽니다.<br /><br />최근 집단감염이 발생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로 올린 울산에선 병원 집단감염이 또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비수도권 지역 중 감염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부산과 울산, 경남 등 지역은 4차 유행 우려가 큽니다.<br /><br />울산에선 자동차 부품 공장 집단감염으로 일주일 만에 40명 넘게 감염되는 등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3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로 격상했지만, 다양한 연결고리를 통한 감염 확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용노동부 상담센터발 집단감염으로 울산시청 직원이 감염되면서 접촉자로 분류된 송철호 울산시장도 지난 13일부터 자가격리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 "접촉자로 분류된 직원 모두는 4월 25일 정오까지 자가격리에 들어갔습니다. 송철호 시장님도 자가격리 수칙을 엄격히 준수하면서 업무에 지장 없도록 원격 업무 시스템으로…"<br /><br />종합병원에서도 집단감염이 새로 발생해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이 병원에선 지난 12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뒤 환자와 종사자에서 가족까지 연쇄 감염으로 이틀 만에 모두 17명이 감염됐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이 병원 10층과 11층 등 2개 병동을 동일집단 격리 조치했습니다.<br /><br />부산에선 14일 오전에만 55명이 추가 확진됐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유흥업소발 연쇄 감염자가 20명으로 감염 확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학생 감염 사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일주일 동안 가족 간 감염으로 대학생 15명, 초·중·고교생과 미취학 아동 28명 등 43명이 감염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1주일 내 무증상자 비율도 30%를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 "무증상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에게도 전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증상 확진 기간이 길어질 경우엔 숨어 있는 감염이 늘어나는 요인이 됩니다."<br /><br />부산시는 상황이 계속 악화하자 의심증상자 진단검사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