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여 년 전 대규모 해고 사태로 노사분규 악몽을 겪은 쌍용차가 다시 생사기로에 서게 되면서 임직원과 협력업체 등 2만여 명의 일자리가 위협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시작된 법원의 회생 절차가 성공을 거두려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거쳐 유력한 새 투자자를 확보하는 게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쌍용자동차는 지난 2월부터 제대로 자동차를 생산하지 못한 채 휴업을 반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금난에 따른 협력사의 부품납품 거부에 이어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까지 겹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2009년 해고 이후 간신히 복직한 직원들을 포함해 5천여 명이 다시 실직 위기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부품 공급업체들도 대부분 조업을 중단하고 근로자들에게 임금의 일부만 지급하면서 벼랑 끝에서 버텨왔습니다. <br /> <br />협력업체 비상대책위는 뒤늦게나마 법정관리가 시작돼 일단 정상 조업이 기대되자 희망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병훈 / 쌍용차 협력사 비대위 부위원장 : 이제 법정관리를 잘 가서 천천히 다른 투자자를 모색해 보고, 또 몸집을 가볍게 하고 이익이 날 수 있는 회사로 만들어야 누가 사지 않겠습니까? 결론은 이해당사자들이 다 노력해야 하겠죠.] <br /> <br />쌍용차는 잠재 투자자였던 미국의 자동차 유통업체 HAAH오토모티브와의 협의가 지연되자 회생계획 인가 이전에 다수를 대상으로 인수합병을 추진하기로 방향을 틀었습니다. <br /> <br />업계에서는 모두 6∼7개 업체가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력한 투자자를 확보하고 채권단의 회생계획 동의를 구하려면 기업의 존속가치를 크게 높이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10여 년 전 큰 상처를 낸 2천6백여 명의 정리해고를 되풀이할 수 없기에 임금삭감과 비용 절감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[김필수 /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: 결국은 사람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월급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. 아마 그 합의를 통해서 군살빼기가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고 있고, 이 때가 바로 노사 합의가 가장 중요해서…] <br /> <br />쌍용차는 2009년 유동성 위기로 기업회생절차를 밟은 뒤 인도 마힌드라가 인수하면서 간신히 정상궤도에 들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대주주가 대규모 신규투자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서 쌍용차는 신차 개발 등에 뒤져 다시 경영위기에 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져 10여 년 만에 판박이 위기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41518433197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