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 소식입니다. <br> <br>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이 다음달 말 워싱턴에서 열립니다. <br> <br>한미 회담 개최 소식이 발표될 즈음, 미국 의회에서는 대북전단금지법 관련 청문회가 열렸는데요. <br> <br>“북한에 불필요한 양보를 하고, 표현의 자유를 침묵시켰다” <br> <br>문재인 정부를 성토하는 미국 의원들의 발언이 연이어 나왔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북한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에 화상으로 열린 미국 의회 산하 대북전단금지법 청문회. <br> <br>[크리스 스미스 / 미 하원의원(공화당)] <br>"국회 과반을 차지한 문재인 정부에게 주어진 권력이 도를 넘어섰다고 봅니다.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을 통과시켰고요." <br> <br>관련법 개정을 촉구하는 의원은 민주주의를 언급합니다. <br> <br>[제임스 맥거번 / 미 하원의원(민주당)] <br>"개인적으로 저는 국회가 법을 고치는 결정을 하길 희망합니다. 다시 말하지만, 그게 민주주의의 장점입니다." <br> <br>청문회에 앞서 미 국무부 관계자도 채널A에, "한국이 독립적이고 강한 사법부를 가진 민주주의 국가로, 법의 재검토를 고려할 수 있는 도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존중한다"며 우회적으로 압박했습니다.<br> <br>북한과 대화하려고 표현의 자유를 희생시켜서는 안된다는 경고가 이어졌고, <br> <br>[영 김 / 미 하원의원(공화당)] <br>"표현의 자유를 침묵시키고 불필요한 양보를 함으로써 (북한의) 나쁜 행동을 보상할 순 없습니다." <br> <br> 인권변호사 출신인 문재인 대통령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고든 창 / 변호사(증인)] <br>"문 대통령은 자유를 제한하고 있고, 실제 민주적 규칙의 개념을 공격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대북전단 효과를 두고 반대 의견도 펼쳐졌습니다. <br> <br>[전수미 / 변호사(증인)] <br>"독재자의 비참한 최후. 이런 전단이 북한 인권을 개선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?" <br> <br> 청문회 결과를 전해들은 우리 정부는 법 개정 취지에 맞춰 이행하고 북한 인권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짧은 입장을 냈습니다. <br><br>"바이든 행정부가 인권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, 이번 청문회의 잇따른 강경 발언이 다음달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우리 정부에게는 적잖은 부담이 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"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