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원 미달·이첩 갈등…갈 길 먼 공수처 1호 수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 임명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검사들 가운데 수사 경험이 있는 검찰 출신은 몇 명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<br /><br />사건 이첩 문제를 놓고 검찰과의 갈등도 계속되고 있어 공수처가 제자리를 잡고 1호 수사를 개시하기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출범 85일 만에 최소한의 수사 진용을 갖춘 공수처.<br /><br />하지만 수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려면 앞으로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검사 정원 23명의 절반 수준인 13명만 이번에 임명돼 추가 채용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수사 경험이 있는 검찰 출신은 4명뿐이라 수사 실무 전반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필요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공수처는 법무연수원과 교육 과정을 협의 중입니다.<br /><br />사건 처리 절차 등을 정하는 내부지침인 사무 규칙을 제정하는 일도 마무리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사건 이첩 기준을 놓고 검찰과 이견을 빚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 착수하면 그 이후엔 이첩을 요청하는 게 부적절하다'는 대검찰청의 의견을 김진욱 공수처장이 공개적으로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 "압수수색은 수사 초반에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. 그거하고 '상당한 정도로 수사가 진행됐을 것'하고 연결이 잘 안 돼서 납득이 어렵다."<br /><br />무엇보다 초미의 관심사인 '1호 수사' 대상에 대한 내부 논의가 더 필요합니다.<br /><br />공수처는 지난달 17일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넘겨받은 이규원 검사의 '윤중천 보고서 허위작성·유출 의혹' 사건을 직접 수사할지 여부를 한 달째 결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