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금쪽같은 백신을 한 방울도 남김 없이 쥐어짠다고 해서 정부가 K- 주사기라고, 홍보했었죠.<br> <br>한 업체 제품에서 이물질이 여러 차례 발견됐습니다.<br> <br>이미 50만 개는 썼고요 불량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부랴부랴 70만 개를 긴급 수거하고 있는데요.<br> <br>저희 취재진이 문제의 주사기 사진을 확보했습니다.<br><br>인체에 해가 될지, 당국 조치는 적절했는지 이다해 기자가 긴급 점검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주사기 피스톤 끝부분에 바늘 두께보다 큰 0.5mm정도 크기의 고무가 삐죽 튀어나와있습니다. <br> <br>또다른 주사기는 눈금의 높이가 다른 주사기와 눈에 띄게 차이가 납니다.<br> <br>정량의 백신 투여가 불가능한 겁니다. <br> <br>접종 전 불량을 확인한 의료진은 곧바로 주사기 사용을 보류했습니다. <br> <br>[전강일 / 이화여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(이물질 때문에) 막히면 정량투어가 안될 수 있고 정말 운이 없게 몸 안에까지 들어가면 국소적으로 붓거나 아니면 염증이 생기거나…" <br> <br>해당 주사기는 백신 1병당 접종 인원을 1명 더 늘릴 수 있는 최소 잔여형 주사기입니다. <br> <br>첫 이물질 발견 신고는 지난 2월 27일, 백신 접종이 시작된 바로 다음날이었습니다. <br><br>당시 식약처는 주사기 공장 근무자의 작업복에서 떨어져 나온 섬유질이 유입된 것을 확인했지만 회수명령 대신 환경 개선 같은 시정명령만 내렸습니다. <br> <br>이후 서울과 경기, 인천, 부산과 충남 등지에서 섬유질과 피스톤의 고무 등 20건의 이물질 발견 사례가 접수되면서 사태가 커졌지만 추가 조치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[식약처 관계자] <br>"심각도에 따라서 보통 그런 조치 결정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물질은 강제 회수 명령을 하지는 않고요 시정조치를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결국 업체측은 첫 신고 이후 20일이 지난 3월 19일에서야 자체적으로 수거를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납품된 120만개 중 50만개가 이미 사용됐고 70만개는 회수 중입니다. <br><br>질병관리청은 이물질이 발견된 주사기로 인해 이상반응이 신고된 사례는 없다며 인체 위해성은 낮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백신 수급 차질을 빚는 상황에서 불량 주사기에 대한 안일한 대응이 국민 불신을 키운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