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엔 채널 A에 들어온 시청자 제보입니다. <br> <br>경찰이 신고를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만 하라 한다면 스마트기기가 낯선 사람들은 어떡하란 걸까요? <br> <br>기술이 있는 이유는 사람 편하라는 거지 사람이 일방적으로 기술에 맞추라는 건 아니죠. <br> <br>경찰도 시민 편하라고 있는 조직이고요.<br> <br>그런데 취재중 접한 경찰 답변은 고구마를 삼킨 듯 답답하기만 했습니다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그제 50대 후반의 남성 박모 씨는 제한속도 시속 30km인 도로에서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. <br> <br>제한속도를 지키며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자 뒤따르던 차가 경적을 울리며 차량 앞으로 갑자기 끼어들어 사고가 날 뻔 한 겁니다. <br> <br>박 씨는 난폭운전을 신고하러 바로 인근 부산 동래경찰서를 찾아갔지만, 신고 접수는 스마트 국민제보 애플리케이션으로만 받는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[박 씨 / 난폭운전 피해자] <br>"(앱 사용법) 모른다고 내가 그래서 직접 왔지, 그래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하더라고요. '스마트폰 국민제보 앱' 볼펜으로 메모지에 적어 달랑 주면서." <br><br>다시 자신의 거주지 관할서인 부산 연제경찰서에 전화해, 방문 신고가 가능한 지 물었지만 이번에도 스마트폰 앱을 쓰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. <br><br>부산경찰청에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치 않다고 호소했지만 핀잔을 들어야 했습니다. <br> <br>[박 씨 / 난폭운전 피해자] <br>"내가 못하는데 하니까 '배워야죠' 이렇게 얘기하는 거예요. 너무 자기들이 행정을 편하게 하려고 하는 건지." <br><br>경찰은 사건 발생장소 경찰서가 신고를 받아도, 신고자의 거주지 관할 경찰서로 사건을 넘겨야 하기 때문에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스마트폰 신고가 필요하다는 입장. <br> <br>[부산 경찰 관계자] <br>"위반 신고는 스마트 제보나 이런 거로 하라고 하거든요. 관할이 어떻게 될 지도 모르고 그래서." <br><br>하지만 스마트폰 조작이 쉽지 않은 시민에겐 신고 문턱만 높일 뿐입니다. <br> <br>신고를 도우려고 앱을 개발해놓고, 되레 이 앱만을 강요해 행정 편의주의를 강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jwhi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기열 <br>영상편집: 김미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