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형마트 줄폐점 계속…고용불안 시달리는 노동자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이후 소비 트렌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면서 대형마트업계가 수익성 개선을 위해 몸집 줄이기 작업을 이어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매장 정리가 본격화하면서 노사 간의 갈등의 골도 깊어지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때 '유통 공룡'으로 불리며 국내 유통 시장을 장악했던 대형마트들의 폐점 행렬이 가속화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2개 점포를 폐점한 롯데마트는 올해도 수익이 부진한 점포 10여 곳을 정리할 계획이고, 지난해 4개 점포를 정리한 홈플러스는 최근 대구스타디움점과 부산 가야점 매각을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이마트는 이달 28일 동광주점에 이어 다음 달 4일 인천공항점의 영업을 종료합니다.<br /><br />대형마트 업계는 문 닫은 점포의 인력을 인근 점포로 재배치해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노조 측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방적인 인력 감축이라고 반발합니다.<br /><br /> "올해는 창사 이래 처음이라며 대규모 희망퇴직을 유도하고 다른 계열사로 직원들을 파견하겠다는 사원 공유제까지 발표했습니다. 여러분 이런 회사에서 어떻게 마음 놓고 정년까지 다닐 수가 있겠습니까?"<br /><br />한국유통학회에 따르면 대형마트 점포 한 곳의 평균 매출이 500억 원이라고 가정했을 때, 폐점 시 해당 점포 직원 945명, 인근 점포 직원 429명 등 총 1,374명의 고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 "오프라인 기업들이 많이 도태되게 되면 그만큼 소비자의 편의성이 줄게 되고 그 지역 상권이 같이 죽습니다. 유통은 일자리 파급 효과가 상당히 커요."<br /><br />온라인으로 편중되는 소비패턴 변화에 정치권의 영업 규제까지 덮쳐 대형마트의 영업환경이 갈수록 악화하면서 직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