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안녕하세요, 스포츠 뉴스입니다. <br> <br>체육계가 도쿄올림픽 출전 선수 전원에게 화이자 백신을 접종해달라는 요청을 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이유는 뭔지, 방역당국은 어떤 결정을 내릴지, 이현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도쿄올림픽 개막까지 앞으로 94일. <br> <br>하지만 선수들의 백신접종은 아직 시작도 못 했습니다. <br> <br>[이기흥 / 대한체육회장(지난 14일)] <br>"처음에는 (이달) 중순 쯤에 맞는 걸로 정리가 됐었는데, 아스트라제네카 문제로 조금 시간이 걸린다고 말씀 드리겠습니다." <br><br>이런 가운데 문체부 관계자는 오늘 "선수 전원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는 것으로 보건당국과 협의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올림픽 대표단의 예상 접종 대상자 450여명 가운데 화이자 백신 접종대상인 30대 미만은 60% 정도입니다. <br><br>여기에 체육 당국은 30세 이상 선수들에게도 화이자 백신 접종을 요청한 겁니다. <br> <br>30대 선수들도 신체 연령에서는 20대와 다르지 않아, 아스트라제네카의 부작용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. <br> <br>접종 간격도 문제입니다. <br><br>화이자 백신은 1차 접종 후 3주 뒤 2차 접종을 합니다. <br> <br>반면 아스트라제네카는 접종 간격이 8~12주입니다. <br><br>올림픽 개막을 코앞에 두고 접종이 끝나면 경기력 유지에 불리하다는 게 체육회의 입장입니다.<br> <br>방역당국은 "사안을 검토 중"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입니다. <br> <br>코로나 사태로 훈련과 실전 양면에서 제약이 많은 선수들이 백신이라는 변수까지 만났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용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