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작년 코로나19 불황에 소득 감소...20대는 '빚투' 급증 / YTN

2021-04-20 2 Dailymotion

코로나19 영향으로 불황을 겪은 지난해, 소득은 줄고 소득 격차는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주식투자 열기에 빠져든 20대는 빚이 크게 늘었고, 자녀가 중고등학생이 된 부모는 교육비에 가장 많은 돈을 썼습니다. <br /> <br />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세에서 64세까지 경제활동을 하는 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살림살이를 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오르던 가구 총소득은 지난해 478만 원으로 집계돼 2018년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줄어들던 부채 보유자 수는 지난해 10명 가운데 6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년 동안 부채가 일정하게 줄어들었을 경우와 비교했을 때보다 15% 역행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하위 20%와 상위 20%의 가구소득은 183만 원 대 895만 원. <br /> <br />지난 2017년부터 줄어들던 소득 격차가 지난해에는 오히려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식 투자 열풍에 20대는 비율이 15% 넘게 늘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, <br /> <br />마이너스 통장 부채는 전체적으로 줄었지만, 20대는 74%나 폭증해 '빚투' 자금으로 짐작됩니다. <br /> <br />40대 부모의 경우 자녀가 초등생이면 식비에 가장 많은 돈을 쓰지만, 중고등생 자녀가 있으면 교육비가 지출 1순위가 됩니다. <br /> <br />[김혜주 / 신한은행 마이데이터유닛장 상무 : 이들의 교육비가 높은 건 40·50대 가족 구성원의 차이, 그러니까 중고생 자녀 비중이 많다는 것, 그리고 자녀의 수가 20·30대보다 많다는 것에 기인할 수 있는데요, 사교육비로 인한 교육비의 지출 영향이 상당히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집을 가진 40대는 매달 570만 원을 벌며 6억천만 원의 자산이 10년 뒤 8억5천만 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, <br /> <br />전·월세 세입자인 40대는 월 소득 440만 원과 총자산 2억8천만 원을 갖고 10년 뒤 4억8천만 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용성[choys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42022203206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