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백신 스와프' 난관에도…정부 "충분한 물량 확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3차 코로나 백신 접종, 소위 '부스터샷' 준비에 나선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외국을 지원할 만큼 백신이 충분하지 않다고 밝혀 정부의 '백신 스와프' 전략이 난관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부가 어제(21일) 우리도 3차 접종을 할 만큼, 물량을 확보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내용인지 배삼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도입이 예정된 백신은 모두 5가지,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를 제외한 4개는 모두 미국 제약사 제품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정부는 6억명분을 확보했다는 미국과 백신 스와프까지 추진하며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,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외국을 도울 만큼 여유롭진 않다고 밝혀 각국의 도움 요청에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백신을 지금 다른 나라에 보낼 만큼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백신 조기 확보에 어려움을 겪던 정부가 이번엔 확보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3차 접종을 준비하느냐는 질문에 상당한 물량을 확보했다고 답한 겁니다.<br /><br /> "물량은 아직 계약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표하기 어렵지만 상당한 분량을 확보했다, 지금까지 확보한 물량만큼 확보했다…"<br /><br />현재 확보한 7,900만명 분 외에 효과 보강을 위한 3차 접종, 이른바 부스터샷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.<br /><br />의료계에선 일단 8월부터 국내 제약사가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 제휴로 생산하기로 한 물량으로 추정하는 시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의 검토 지시에 따라 도입 가능 여부 점검에 들어간 러시아산 스푸트니크V 백신도 또다른 대안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다만, 이들 물량이 들어온다 해도 절차를 감안하면 하반기에 집중될 것으로 보여 상반기 1,200만명 접종 목표를 획기적으로 높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