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백신 수급의 돌파구가 잘 안 보이다보니, 러시아 백신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도 가능성을 점검하라 지시하면서, 식약처가 해외 공관에 스푸트니크V의 정보 수집을 요청했는데요. <br> <br>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방식이 아닌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방식이라 특히 혈전 이상 반응 여부에 신경쓰고 있습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식품의약품안전처가 외교부에 보낸 공문입니다. <br> <br>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을 접종 중인 12개 국가의 재외공관을 통해 <br> <br>혈전증 같은 이상반응 사례와 인과성 평가 정보를 수집해달라는 내용입니다. <br><br>스푸트니크 백신 도입에 줄곧 부정적이던 방역당국이 입장을 바꾸기 하루 전날 보낸겁니다. <br> <br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(지난 16일)] <br>"각국의 동향들과 데이터들을 확인하면서 충분히 도입 가능한 영역인지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고…." <br> <br>스푸트니크는 지난해 8월 세계 최초로 개발됐지만 임상 자료가 공개되지 않아 '물백신'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> <br>지난 2월에서야 연구 결과가 공개돼 유럽의약품청이 허가 검토에 착수했습니다. <br><br>다만 아스트라제네카, 얀센과 같은 제조 방식으로 혈전 부작용 우려를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[권기훈 / 러시아 현지 교민] <br>"스푸트니크 백신은 러시아에서도 반신반의하는 추세고요. 공식적인 발표 자료나 기사나 해서 '중증 부작용이 있었다'는 것을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." <br> <br>방역당국은 아직 기초 정보 수집을 하는 단계라며 향후 유럽의약청의 허가 결과를 중요하게 참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연수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