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승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형주 / 전 민주당 의원, 신성범 / 전 새누리당 의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오늘까지 나흘째 700명대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코로나19 4차 유행 확산세가 커지고 있습니다. 정부가 확산을 차단할 백신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백신 수급을 둘러싼 공방도 가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형주 전 민주당 의원 그리고 신성범 전 새누리당 의원 두 분과 함께 백신 수급 논란 등 정치권 이슈 살펴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 먼저 최근 백신과 관련된 여론조사 결과를 먼저 좀 보고 얘기를 나눌 텐데요. 한국갤럽 조사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에 정부가 대응을 잘하고 있는지 여부를 물어봤는데요. 그래픽 좀 보여주시죠. 작년 5월에는 대응을 잘하고 있다가 85%로 가장 높았습니다. 그런데 1년 뒤에, 지금 이번에 나온 결과를 보면 긍정과 부정이 역전된 상태인데요. 특히 부정평가자의 절반가량이 백신 수급 문제를 지적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예전과는 확실히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민심이 많이 변했다라는 걸 알 수 있는데요. 김형주 의원께서는 지금 이 상황 어떻게 평가를 하세요? <br /> <br />[김형주] <br />아무래도 초창기에 우리가 정말 투명하고 적절하게 대응을 잘했죠. 그런 부분들이 있었습니다마는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또 다른 한편으로 보면 세계 최고의 백신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우리 정부로서는 말하자먼 사망자 수라든지 여러 가지 확진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백신 문제를 좀 느긋하게 생각한 것이 없지 않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말씀하신 것처럼 기본적으로 조금 초창기에 많이 서둘러야 되는데 캐나다처럼 인구의 4~5배 정도까지. 왜냐하면 아시다시피 이번 코로나 백신 같은 경우에는 사실 실험을 엄밀하게, 확실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입된 바가 없지 않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기 때문에 얀센이든 아스트라제네카든 모더나든 화이자든 어느 백신이 중간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걸 감안해서 조금 더 풍부하게 접촉을 해서 확보를 할 필요가 있었는데 조금 그런 면이 서툴지 않았느냐, 그런 부분이 있고요. <br /> <br />또 하나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미국이 결국에는 백신 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42416253100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