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사회에서 '정의란 무엇인지'를 묻는 작품들이 잇따라 무대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'이 시대의 진정한 정의란 무엇인지'에 대해 근원적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상우 기자가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05년 러시아 혁명, 일제 강점기 안중근 의사의 의거, 그리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과 이념 대립의 장이 됐던 우리의 광화문 광장까지. <br /> <br />정의를 외치는 다양한 사람들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독특한 방식으로 무대로 소환됩니다. <br /> <br />알베르 카뮈의 동명 희곡을 '오늘의 한국인의 관점'에서 재창작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정의에 대해 고뇌하고 혼란스러워하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그리면서 정의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폭넓게 던집니다. <br /> <br />[문삼화 / 서울시극단 단장 겸 연출 : '이 시대의 정의는 뭐다'라고 말할 수 없다는 거죠. 저마다의 그 정의를 정의하는 방식에 따라서 주장들이 많기 때문에, 결국 누구 것이 옳고 절대불변 진리 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.] <br /> <br />노래와 춤, 그리고 웃음이 끊이지 않는 무대, <br /> <br />5·18 민주화운동 때 보통 사람들이 겪은 십여 일간의 이야기를 다뤘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광주의 서사와 뮤지컬 자체의 완성도가 초연 때보다 훨씬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정의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서사 주입 방식의 무거움을 덜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선웅 / 연출 : (제작 방향은) 작년에도 그랬고 올해도 그랬고 저는 딛고 일어서서 노래하고 춤추고 사랑하자 입니다.] <br /> <br />간신의 계략으로 조 씨 가문은 핏덩이 아이만 남긴 채 송두리째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평범한 인물인 '정영'에게 느닷없이 맡겨진 조 씨 고아. <br /> <br />약속과 신의, 대의 앞에서 고뇌하다가 결국 자신의 자식까지 희생하고, 이십 년 뒤 복수에 성공하지만 허무함을 느낍니다. <br /> <br />[하성광 / 정영 역 : 복수는 해야 마땅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도 다시 되돌아올 수도 있고요. 그리고 그것이 또 다른 희생을 부를 것이니까요, 네, 복수는 끝이 없는 거 같습니다.] <br /> <br />극의 마지막 대사는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. <br /> <br />"이 세상은 꼭두각시의 무대 북소리 피리 소리에 맞추어 놀다 보면 어느새 한바탕의 짧은 꿈 갑자기 고개를 돌려보니 어느새 늙었네 이 이야기를 거울삼아 알아서 잘들 분별하시기를" <br /> <br />YTN 김상우[kims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4241857399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