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1. 김 기자, 추가로 확보한 화이자 백신, 3분기에 집중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언제 들여온다는 건가요? <br><br>추가 도입 분은 3분기부터 들어옵니다. <br><br>우리가 원래 계약한 물량은 1300만 명 분이었죠, <br> <br>6월 말까지는 이미 예정돼 있던 물량 350만 명만 들어오고요 <br> <br>7월부터는 나머지 2950만명 분이 순차적으로 도입되는 거라서 결국은 상반기 백신 부족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을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2. 추가된 화이자 물량을 누가 맞을지는 아직 정해지진 않은거죠? <br><br>화이자는 현재 16세, 17세 접종이 가능한 유일한 백신이거든요. <br> <br>현재 우리나라에선 18세 이상만 접종할 수 있도록 돼있는데, 물량이 충분해지면서 18세 미만으로 접종 연령을 확대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겠고요. <br> <br>또 희귀혈전증 논란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이 제한된 30세 미만에게 어떤 백신을 맞출 것인지 대안이 없었는데, 화이자가 그 대체 백신이 될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백신 효과를 높이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접종, 이른바 ‘부스터샷’도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3. 정부는 11월 집단 면역을 계속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혀었는데 진짜 올해 말에는 마스크 벗을 수 있는 걸까요? <br><br>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의 70%, 3600만 명이 한 번이라도 접종을 받아야 하거든요. <br> <br>정부는 9월까지 총 8천만명 분이 도입되기 때문에 당초 접종계획보다도 800만 명 많은, 4400만 명이 9월까지 그것도 2차 접종까지 완료 할 수 있는 양이 확보됐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3분기에 도입이 집중된 백신을 얼마나 빠르게, 문제 없이 맞히냐입니다. <br> <br>추가된 화이자 물량 뿐 아니라 모더나, 얀센, 노바백스 같은 나머지 백신들도 7월 이후에 대부분 들어오기 때문에 정부가 말한 4400만 명 접종을 위해서는 세 달 동안 3200만 명을 맞혀야 하는 거거든요. <br> <br>정부는 우선 이달말까지 204곳이 운영되는 예방접종센터는 이달 말에는 250여 곳으로 늘리는 등 접종속도를 높이기 위해 준비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4. 화이자도 화이자지만, 2분기에 들여오기로 했던 모더나나 다른 백신들은 감감 무소식인건가요? <br> <br>네, 정부가 계약한 백신은 화이자, 아스트라제네카 말고 모더나, 노바백스, 얀센, 이렇게 세 종류의 백신이 더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모더나의 경우, 청와대가 지난해 12월, 5월부터 2천만 명분 들어온다고 강조했지만, 4월 말이 다 되어가는 지금까지도 여전히 협의중이구요, <br> <br>노바백스, 얀센 등 모두 상반기에는 소량 도입만 가능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여권핵심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3분기와 4분기에 몰릴 물량을 최대한 7-8월로 당기기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고 하는데요, <br> <br>일단은 그때까지 현재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 유행을 억제하고 관리하는 게 중요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여기까지 듣겠습니다.<br><br>김단비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