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 취재 결과, 코로나19로 인해 전국 중·고등학교에서 성적 중위권 학생들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위권 학생들이 최상위, 혹은 최하위권으로 움직였다는 뜻인데요, <br /> <br />분석해봤더니, 중학교에서는 양극화, 고등학교에서는 전반적인 학력 저하 현상이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등교 차질 속에 원격 수업이 계속되면서 학력 격차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강성태 / '공부의신' 대표 (학습법 전문가) : 격차 적인 면에서 본다면 지금이 가장 심각한 상황이 아닐까 생각하거든요.] <br /> <br />YTN 분석 결과 성적 중위권 감소가 확인돼 우려가 현실이 된 지금, 관심은 중위권 학생들이 어디로, 얼마나 움직였는가입니다. <br /> <br />분석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이전과 이후, 수학 성적 최상위와 최하위권의 분포 비율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봤는데, <br /> <br />전국 중·고등학교 1,250여 곳에서 뚜렷한 경향성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중학교 2학년의 경우, 최상위와 최하위 등급이 동시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형적인 양극화입니다. <br /> <br />[신소영 /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팀장 : 중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비중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이런 사교육의 일시적인, 학습적인 도움을 받았을 경우에 학업 성취도면에서 조금 더 우수한 성적을….] <br /> <br />고등학생들은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상위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, 최하위 등급 비율이 커진 학교는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가 전국 고등학교에 학력 저하라는 후유증을 남긴 셈입니다. <br /> <br />[김경애 /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연구실장 : 역량 수준이 다른 세대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고, 학업을 다 마치고 사회에 나오는 시기에도 영향을 미치겠죠. 우리 사회에 굉장히 지속적으로,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문제….] <br /> <br />모든 지역 학생들이 똑같은 경향을 보인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 차이를 보기 위해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높은 구와 낮은 구의 중·고등학교 한 곳씩을 대표 사례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집값과 무관하게, 중위권 감소는 공통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상위와 최하위권의 비율 변화는 엇갈렸습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 영향이 큰 중학교의 경우, 강남구에서는 최상위 등급 비율이 급증했고, <br /> <br />[학부모 / 서울 대치동 : 학원이 문을 닫으니까 강사들이 놀잖아요. 비즈니스호텔 잡아서 강사들 다 부르는 거죠.] <br /> <br />도봉구 고등학교에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42605320491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