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MZ세대가 노조 문화까지 바꾸고 있습니다. <br> <br>강성 생산직 노조가 있는 곳이죠. <br> <br>현대자동차그룹에 MZ세대를 주축으로 하는 사무연구직 노조가 설립됐습니다. <br> <br>빨간 띠 두르고 파업을 내세웠던 기존 노조와는 다른 노선을 예고했는데, 안건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노동청에 설립신고서를 제출한 건 현대자동차그룹의 사무연구직 노조. <br> <br>가입의사를 밝힌 직원 수는 500여 명, 대다수는 입사 8년 차 이하 MZ세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노조위원장도 입사 2년 차 27살. <br> <br>객관적 기준에 따른 평가와 공정성에 근거한 보상을 요구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[이건우/현대차그룹 사무연구직 노조위원장] <br>"기존 노조는 생산직이 얻어낸 결과이고, 그분들 권익 중심으로 가는 게 당연하다 생각합니다." <br><br>생산직 노조와는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불투명한 의사결정이 늘 불만이었다며 기성노조처럼 운영하지 않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건우/현대차그룹 사무연구직 노조위원장] <br>"데이터·통계에 기반 한 의사결정을 하면서 투명성·공정성을 확보할 것이라는 게 가장 큰 차별점 같습니다. " <br><br>새 노조의 주축인 MZ세대는 '임금'과 '정년'을 위해 '파업'을 무기로 내세운 기성 노조와 달리 '워라밸'과 '공정', '투명'을 가치로 내세웁니다. <br> <br>최근 SK하이닉스에서 임원 성과급이 논란이 되자 최태원 회장이 연봉 반납을 밝혔지만 MZ세대 직원들이 시큰둥했던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[김태기/단국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옛날엔 감동했을 거예요. 우리 회장님 저런 분이야. (MZ세대들은 최 회장이) 받지 말라는 게 아니라 우리 급여가 왜 이렇게 결정됐는지 이해 못 하겠단 거죠." <br> <br>사무직 노조 설립은 지난달 LG전자를 시작으로 금호타이어, 현대중공업, 넥센타이어 등 대기업 전반으로 확산 되고 있는 상황. <br> <br>MZ세대가 불러일으킬 노사 관계 변화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