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이 지난주 단독 보도해드린 대로 그동안 논란이 됐던 해병대 상륙 공격 헬기 사업이 국내 개발로 최종 결론 내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상륙 공격 헬기는 유무인 복합 체계를 도입하고 기동성을 높여 생존성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개발이냐 해외 도입이냐를 놓고 논란이 됐던 해병대 상륙 공격 헬기 사업, 방위사업추진위원회는 국내 개발로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에서 단독 입수한 영상을 보면 상륙 공격 헬기는 공대지·공대공 미사일과 로켓포, 터렛건으로 무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방위사업청은 입체 고속 상륙 작전을 구현하는 항공 화력 지원 능력이 보강되고, 서북 도서에서의 적 기습 강점 대비 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군 작전 요구 성능의 충족성과 상륙기동헬기 마린온과의 호환성 등 운영 유지의 효율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부터 오는 2031년까지 총사업비 1조 6,000억 원을 들여 상륙 공격헬기 24대를 제작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개발 상륙 공격 헬기의 강점은 LAH, 소형 공격 헬기처럼 무인기와 합동 작전으로 유인 헬기 단독으로 작전을 펼칠 때보다 생존율과 작전 효과를 약 50% 높일 수 있다는 점. <br /> <br />[이보형 준장 /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 : 조종사들이 산을 넘어가려고 하면 뭐가 제일 두렵겠습니까? 산너머에 '적이 있는지, 없는지'겠죠. 그런데 자기가 조종해서 UAV(무인기)를 띄워가지고 거기에 확인하고 간다고 하면 훨씬 더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, 홀쭉한 디자인으로 피탄 면적을 줄인 해외 공격 전용 헬기와 달리 옆으로 넓적한 조종석 구조는 약점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KAI는 기관총의 12.7mm탄을 막을 수 있게 조종석에 방탄판과 좌석을 적용해 생존성을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 개발되는 상륙 공격 헬기는 해병대의 기동성 강화 요구에 따라 오는 2030년 초에 동력 전달 계통 국산화를 통해 수직 상승 속도를 더 높인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42621491064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