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그런데 미국과 중국이 인도를 서로 돕겠다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미중 백신 외교전의 배경이 인도가 된 이유를 권갑구 기자가 분석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국이 혈전 부작용 우려에도 얀센 백신 접종을 재개했습니다. <br> <br>화이자와 모더나 백신까지 포함하면 이미 2억 3천만 회분이 접종됐습니다. <br> <br>아직 미국내 승인이 나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다른 나라에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모두 6천만 도스로 대상 국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인도와 일부 중남미 국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네드 프라이스 / 미 국무부 대변인] <br>"이것은 (백신 제공은) 백신을 통한 정치적 지원이 아닙니다. 이것은 미국의 인도적 지원입니다." <br> <br>당초 미국은 '제 코가 석자'라며 백신 지원에 부정적이었지만,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(지난 21일)] <br>"논의 중입니다. 아직 해외로 백신을 보낼 여력은 부족합니다." <br><br>백신 '부익부 빈익빈'이라는 국제사회 압박이 거세지자 돌연 입장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[수석·보좌관회의(어제)] <br>"국제공조도 모두 뒷전이 되어 국경 봉쇄와 백신 수급통제, 사재기 등으로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습니다." <br><br>하루 앞서 중국도 샤오미 등 기업들을 앞세워 인도에 의료용 산소 발생기와 마스크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어제)] <br>"우리(중국)는 이미 인도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처하도록 도울 준비가 됐다고 밝혔고, 양국은 함께 논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미중 양국이 인도를 고리로 '백신 외교'에 나선 건 패권 경쟁 속 우호 세력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<br>현재까지 중국은 중동의 시리아부터 아프리카 짐바브웨, 남미 브라질까지 자국산 백신을 공급했습니다. <br> <br>반면 미국은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인접 국가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보냈고, 비공식 안보협의체, 쿼드 국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.<br> <br>'백신이 곧 안보' <br> <br>각국의 총성 없는 백신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갑구입니다. <br> <br>nine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