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그제부터 진행 중인데요. <br><br>이상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><br>경찰청장은 동의 한 경찰만 접종한다고 했지만, 현장에서는 접종 예약률을 높이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호소합니다. <br><br>김은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경남 지역에서 50대 경찰서 직원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건 그제, 그런데 접종 15분 만에 의식을 잃는 증세가 나타났습니다.<br><br>의식은 5분 만에 돌아왔지만 여전히 메스꺼움와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걸로 전해졌습니다.<br><br>[이경민 / 경찰청 공무직노조 위원장]<br>"접종하고 나서 '어, 왜 이렇게 어지럽고 메슥거리지' 그러고 나서 기억이 없다고 하더라고요."<br><br>이 직원은 경찰서 시설을 관리하는 무기계약직이지만, 경찰 소속 사회필수인력이라 접종 대상에 들어 있었습니다.<br><br>충남 아산에서도 40대 경찰관이 접종 하루 뒤 시력 감퇴와 손발 저림을 겪었습니다.<br><br>백신 때문인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상 증상 사례가 잇따르면서, 일부 경찰관은 불안을 호소합니다.<br><br>백신을 맞을지는 개인 의사를 따른다는 게 경찰 방침이지만, 현장에선 접종 예약을 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는 겁니다.<br><br>경찰관이 이용하는 익명 온라인 카페에는 상관이 "접종 예약율을 높여야 한다"며 "나중에 취소해도 되니 예약 하라고 했다"는<br>글도 올라왔습니다.<br><br>"강제로 예약당했다"는 글도 보입니다.<br><br>30대 초반의 경찰관들의 불안이 두드러집니다.<br><br>혈전 가능성 때문에 필수 접종대상에서 빠진 30세 미만과 나이 차이가 별로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><br>30~35세 사이 경찰관은 2만 3천 명으로, 전제 인력의 19%를 차지합니다.<br><br>이상 반응의 원인을 서둘러 확인하고, 경찰관들의 불안을 덜어줄 충분한 설명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김은지입니다.<br><br>eunji@donga.com<br>영상취재: 임채언<br>영상편집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