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인권옹호·인종차별 반대·소통 상징’ 재즈 음악 <br />매년 4월 30일 ’세계 재즈의 날’…각국 기념 공연 <br />국내 재즈 아티스트 총출동 온라인 라이브 공연<br /><br /> <br />내일(30일)은 재즈를 통해 지구촌의 화합과 인류애 정신을 공유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'세계 재즈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'세계 재즈의 날'을 맞아 코로나 시대 '재즈 정신'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콘서트가 열립니다. <br /> <br />김상우 기자가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재즈 피아니스트와 배우 지망생의 꿈과 사랑을 그린 영화 라라랜드. <br /> <br />즉흥 연주라는 재즈의 특성처럼 두 사람의 인생은 불확실하고 요동치지만 상대방의 선택을 응원합니다. <br /> <br />프랑스의 식민지였다가 스페인으로, 이후 다시 프랑스에 속했다가 미국에 팔린 뉴올리언스에서 탄생한 재즈. <br /> <br />여러 문화가 섞일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배경 속에 재즈는 인권옹호와 소통을 상징하는 음악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[웅산 / 재즈 보컬리스트 겸 한국재즈협회장 : 재즈는 국가와 종교와 인종과 여러 이념을 넘어서, 문화의 차이를 넘어서 가장 민주적으로 소통하는 그런 음악이거든요.] <br /> <br />4월 30일 유네스코가 지정한 '세계 재즈의 날'을 맞아 세계 각국에서는 재즈 콘서트가 열립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재즈 아티스트들도 한자리에 모여 비대면 라이브 공연으로 재즈의 진수를 선보입니다. <br /> <br />[최우준 / 재즈 기타리스트 : 재즈는 항상 똑같은 것을 연주하면 안 돼요. 왜냐면 제가 지금도 만나서 이런 얘기를 하는 것처럼, 누구를 만나서 연주를 하느냐 거기에 맞게, 공간에 맞게, 분위기에 맞게 연주를 해야 되는 게 재즈의 정신이거든요.] <br /> <br />일상이 통제되는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시대, 재즈의 마법이 요구되는 시대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식 / 색소포니스트 겸 수원여대 교수 : 재즈라는 음악이 자유로운 음악이라고 해서 자기 것만 막 연주하고 노래하고 하면 안 되거든요. 배려하고, 아 저 사람이 연주할 땐 내가 쉬어주고 장단도 맞춰주고, 이런 것이 즉흥적으로 나오는 게 재즈거든요. 아, 이 코로나 시대에도 재즈적인 삶을 살면 정말 코로나가 행복하겠다.] <br /> <br />YTN 김상우[kims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42905510686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