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내 백신 복제 가능할까?…지재권 보다 특허·원료가 관건

2021-05-06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미국이 얼마나 자세히 빗장을 풀지도 관건이지만, 푼다 해도, 우리가 곧바로 화이자 모더나 백신을 복제 생산하기는 쉽지 않다고 합니다. <br> <br>원재료를 수급하기 위한 쟁탈전이 또 벌어질 수 있다는데요. <br> <br>황규락 기자가 우리나라 백신 확보에 미칠 영향을 짚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화이자와 모더나 사가 개발한 백신은 mRNA 방식입니다. <br> <br>mRNA가 몸 속에 들어가 항체 생성을 명령하는데, 이 mRNA와 이를 보호해 세포 안까지 전달해주는 약물 전달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핵심입니다. <br> <br>지식 재산권을 면제한다해도 이런 핵심 기술이나 개발 노하우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화이자나 모더나가 직접 기술이전을 하지 않는 이상 똑같은 백신을 만들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그 단계 하나하나 특허 기술이 300여 가지가 걸려 있기 때문에 '지식 재산권 풀었으니 알아서 하시오'하면, 가르쳐주지 않은 다음에야 어떻게 합니까." <br><br>국내 mRNA 생산 설비를 갖춘 제약사 관계자도 "자사 미래 먹거리 기술을 어느 제약사가 공개하겠나"라며 제한적으로 기술을 공개한다면 "국내 제약사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또한 mRNA의 원료를 생산하는 업체가 많지 않아 원재료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노바백스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도 원재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산 일정이 지연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이미 mRNA 백신 개발에 나선 국내 업체들의 입장에서는 기술 공유로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향후 국제 사회의 진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업계와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차태윤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