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는 지난달 수사를 맡을 검사를 신규채용하면서 정원의 절반을 겨우 채웠죠. <br> <br>그런데 실무를 맡을 수사관 채용도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종 합격한 수사관도 정원의 3분의 2를 겨우 채웠고, 그나마 최종합격 수사관 중에도 임용을 포기한 경우도 있습니다. <br> <br>공태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원래 채용하려던 수사관 정원은 모두 30명. <br> <br>하지만 최종 합격자는 수사관 정원의 3분의 2인 20명에 그쳤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종합격한 수사관 중 6급과 7급 1명씩 총 2명이 최근 임용을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공수처에 전달했습니다. <br> <br>2명 모두 현직 검찰 수사관입니다. <br> <br>공수처는 앞서 검사 채용 때도 정원 23명의 절반 정도인 13명 만 최종 임명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검사에 임함." <br> <br>법조계에선 공수처의 인력 충원난이, 공수처의 공정성 시비와 수사 역량에 대한 우려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법조계 관계자는 "향후 공수처가 수사 역량을 증명 못하면 인력 부족의 악순환이 계속될 수 있다"고 내다봤습니다. <br><br>공수처는 앞서 내부 인사 관련 문건이 외부로 유출돼 홍역을 치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후 공수처는 내부 감찰을 통해 공수처에 파견 중인 경찰관이 검사 합격자 명단을 유출한 사실을 확인하고, 해당 경찰관을 파견 해제해 경찰로 돌려보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