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화문광장 공사 현장에서 조선 시대 육조 거리 흔적이 대거 발굴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선 시대 주요 관청의 위치와 흔적이 실제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구수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서울청사 앞 발굴터. <br /> <br />군데군데 돌무더기 같은 게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조선 시대 군사업무를 총괄했던 삼군부의 외행랑이 있던 자리입니다. <br /> <br />[박호승 / 한울문화재 연구원 부장 : 페인트로 표시한 영역은 삼군부 건물의 기초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건물의 내측 기둥의 기초로서….] <br /> <br />잘 다듬어진 석축이 둘러싼 폭 60cm, 깊이 80cm의 도랑은 배수로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세종로 공원 앞에서는 조선 시대 관리 감찰기구였던 사헌부의 유구로 추정되는 행랑, 담장, 우물 등이 발굴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추정만 해왔던 조선 시대 육조 거리를 원래 모습에 더 가깝게 재구성할 수 있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뿐만 아니라 민가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우물, 도자기와 기와 조각 등 다양한 유물도 출토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, 다양한 조선의 흔적이 경복궁 앞에서부터 광화문 사거리까지 곳곳에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2년에 걸쳐 일대 만여 제곱미터에 대한 문화재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로, 9단계에 걸친 조사는 이달 안에 마무리됩니다. <br /> <br />[박호승 / 한울문화재 연구원 부장 : 육조의 영역이라든지 육조의 구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판단하고요. 삼군부라든지 사헌부의 경계를 확인한 게 가장 중요한 성과가 아니겠나 판단.] <br /> <br />서울시는 발굴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문화재 심의 결과를 토대로 보전·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임창수 / 서울시 광화문광장 반장 : 문화재의 가장 큰 원칙은 문화재 보존이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구간은 보존하겠지만 일부 구간은 활용해서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또 이달 말까지 시민 신청을 받아 현장을 공개하고, 전문가 자문과 함께 시민 의견도 보전 방안에 반영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구수본[soobon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51017155728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