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정부 출범 뒤 4년 만에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무려 6배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청약으로 집 구하기가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얘기인데요. <br /> <br />실수요자와 무주택자를 고려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위례신도시에 있는 한 아파트 건설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2023년 3월 입주를 목표로 기초 공사가 한창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초 이 단지의 청약이 진행됐는데요, 1순위 평균 경쟁률이 6백 대 1을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으로 한정해서 보면 역대 최고 경쟁률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서울의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90대 1을 훌쩍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출범 뒤 4년 만에 6배가 넘게 높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급등한 건 다른 수도권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적으로는 경쟁률이 두 배 가까이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을 제외하고도 부산과 세종 등에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청약 과열이 전국으로 번진 셈입니다. <br /> <br />[여경희 /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: 새 아파트 선호와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감, 분양가 통제에 따른 시세차익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, 청약 시장의 과열이 심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] <br /> <br />청약 시장에서 소외된 30·40대가 이른바 '영끌'로 주택 매입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40대 직장인 : 분양가가 더 높긴 하지만 조금 더 넓은 추첨제 아파트에도 청약을 넣었는데 족족 다 떨어져서 어쩔 수 없이 집을 구매하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청약에서 떨어진 수요가 대거 기존 주택 매매시장으로 모이면서 부동산 불안 요인은 가중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랩장 : (주택 수요자가) 저평가 지역이라든지 3기 신도시 개발지역, 또는 교통망 확충 지역으로 몰려 지난해에는 2006년 이후 거래량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] <br /> <br />청약이 몰리면서 평균 청약 가점까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실수요자 보호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청약 가점이 낮고 특별공급에도 포함되지 않는 무주택자를 고려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1122044433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