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오는 20일 두 번째 반도체 화상회의에 삼성전자를 또 초대해 투자를 압박하는 분위기가 거세졌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반도체 회사들이 투자를 확대하는 가운데 이번 회의 다음 날에는 한미 정상회담도 예정돼 삼성전자의 대규모 투자계획 공개가 임박한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 달 전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화상회의를 열고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까지 흔들면서 생산시설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미국 행정부는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가 더욱 악화하자 뚜렷한 회복세에 접어든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을 크게 우려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재닛 옐런 / 미국 재무장관(지난 8일) :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로 몇 곳에서 자동차 생산시설 가동이 멈췄습니다. 이번 달 이 분야에서 일자리가 감소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 상무부는 반도체 공급망 확대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오는 20일 반도체 화상회의를 또 열기로 하고 삼성전자도 다시 초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나 러만도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반도체를 최우선 정책으로 꼽으면서 기업들의 투자규모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만도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반도체 분야 500억 달러 투자 계획이 민간의 500억∼천억 달러 규모 투자와 맞물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반도체 수급 조사를 마무리하는 시점이어서 이번엔 삼성전자도 투자 선물 보따리로 화답해야 할 때인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미국의 인텔은 차량용 반도체 생산 확대를 가장 먼저 약속했고, 타이완의 TSMC도 애리조나에 짓는 공장을 크게 늘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안기현 / 반도체협회 전무 : 지난번 회의는 수급 상황을 점검한 회의라고 보면 되고요. 이번에는 수급을 어떻게 안정화시키느냐, 이런 회의라고 추정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삼성전자는 지난번처럼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이 화상회의에 참석할지와 투자규모 공개 여부 등 다양한 방안을 놓고 내부적으로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 달러, 19조 원가량의 반도체공장 증설을 검토해 왔는데, 이번에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 회의 바로 다음 날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점도 주요 변수로 거론됩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1217111564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