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상화폐 시장이 요동치면서 환치기 우려가 커지자 은행권이 연이어 외국인 등의 월간 해외송금 한도를 줄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비트코인의 시가총액 비중이 크게 줄고 알트코인에 투기성 자금이 대거 몰리면서 '거품 붕괴'가 임박했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 가상화폐 코인 시장은 말 그대로 전쟁터입니다. <br /> <br />시황중계업체와 거래소 관련 사이트 등은 24시간 내내 접속이 폭주하고, 기축통화로 꼽히는 비트코인의 가격과 시가총액도 요동 그 자체입니다. <br /> <br />비트코인 시가총액 비중은 현재 약 42% 석 달 전에 비해 무려 20%포인트나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가상화폐인 즉 알트코인의 비중과 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세입니다. <br /> <br />개인투자자들이 알트코인에 몰리면서 투기성 단타에 집중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변동성이 매우 심합니다. <br /> <br />알트코인인 이더리움의 경우 현재 약 3,900달러 1년 전 약 180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무려 2100% 이상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 최고경영자의 한마디에 몸값을 키운 도지코인은 더 심합니다. <br /> <br />한 달 사이 국내 거래량이 15배나 증가했고, 거래가도 1년 전에 비해 무려 1만5000%나 폭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2030 청년세대가 이른바 영끝, 빚투로 코인거래에 나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는 접속 폭주 등으로 인해 시스템 장애까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 비중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과, 알트코인으로 자금의 대거 이동 등은 거품 붕괴의 신호탄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장우 / 한양대학교 글로벌기업가센터 겸임교수 : 암호화폐 같은 경우, 4년에 한 번씩 상승과 하락이 같이 있어 왔습니다. 그런데 상승과 하락 사이의 가격 차이가 얼마나 되냐면, 비트코인의 경우 대장주임에도 불구하고 75% 정도가 하락하고요.] <br /> <br />신한과 우리, 농협 등 은행권은 가상 화폐 관련 환치기 우려가 커지자 외국인 등의 월간 해외송금 한도 제한에 잇따라 나서는 등 가상 화폐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[kims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1222250641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