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e(환경)s(사회)g(지배구조) 경영<br> <br>요즘 기업들이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경영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소비자들이 돈을 더 쓰더라도 지갑을 열게 되는 이윤데요. <br><br>당장 매일같이 가는 마트에서부터 변화를 실감할 수 있으실 겁니다.<br><br>김단비 기자가 가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퇴근 후 마트를 들른 김수정 씨. <br> <br>비닐 포장된 채소를 들었다 놓고, 꼼꼼히 살펴보다 골라든 건, 포장재가 생분해 재질로 된 두부입니다. <br> <br>[김수정 / 소비자] <br>"(플라스틱) 포장이 덜 된, 포장이 친환경적으로 된 제품들이 많이 나와서 제가 지킬 수 있는 한 그런 소비를 지향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우유도 라벨이 잘 벗겨져 분리수거가 쉬운 걸로 골랐습니다. <br> <br>[김수정 / 소비자] <br>"브랜드가 어떤 착한 일을 하는지, 착한 일을 선도적으로 하고 있는지를 주안점을 두고 소비를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작은 구매 행위 하나에도 환경적 가치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기업들도 경쟁하듯 환경 보호에 우선에 둔 ESG 경영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<br>생분해 플라스틱을 개발하거나 투명 페트병, 노라벨 제품을 내놓고 고객이 가져온 플라스틱으로 집게와 쇼핑카트를 만들어 기부하기도 합니다. <br><br>창고 가득 쌓인 상자를 열자 쓰고 난 화장품 병이 한가득입니다. <br> <br>색깔도, 재질도 제각각. <br> <br>국내 한 화장품 업체가 전국의 매장에서 수거해온 것들로 일일이 금속이나 유리를 떼어낸 뒤 재활용합니다. <br> <br>[김태우 / 국내 A 화장품업체 부장] <br>"폐기물 창고라고 불리는 곳인데 전국의 매장에서 고객들께서 반납한 공병을 한 곳에 모이는 곳입니다." <br> <br>공정 과정 거쳐 작은 플라스틱칩, '펠릿'이 됩니다. <br> <br>[김단비 기자] <br>"완성된 펠릿이 담겨있는 곳에 와있는데요. 한 번 꺼내보겠습니다. <br> <br>검은색 펠릿이 나오는데요. 검은 색 뿐만 아니라 노랑색, 주황색, 녹색 등 다양한 색을 지닌 재생원료로 탄생합니다." <br> <br>화장품 용기를 만들거나 자동차, 가전제품의 일부로 재탄생합니다. <br> <br>수거와 재공정까지 별도의 비용이 들지만,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입니다. <br><br>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ESG 경영은 더욱 다양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kubee08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장명석, 이영재 <br>영상편집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