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도체 투자하고 백신 협력…대미 경제협력 논의 분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이번 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과의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가장 큰 관심은 코로나19 백신 협력, 그리고 미국이 경제를 넘어 핵심 안보 현안으로까지 꼽고 있는 반도체 공급망 문제인데요.<br /><br />조성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뒤 첫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경제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 "양국 간의 보건 방역, 공급망 협력 등 당면 현안뿐만 아니라 협력 여지가 큰 미래지향적인 핵심 분야별 협력 채널을 구축하고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만드는 데 대해…"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과 반도체 공급망 등이 정상회담 주요 의제로 부각된 만큼, 국내 백신 허브 구축과 우리 기업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등 현안을 정부가 어떻게 지원할지 논의한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백신 원천기술을 가진 미국과 세계 2위 수준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을 갖춘 한국이 손잡고 한국을 백신 생산의 글로벌 허브로 만드는 구상을 이번 정상회담에서 구체화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미국에게 절실한 현안인 반도체, 배터리 협력방안도 백신만큼 큰 관심사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삼성과 현대차, SK, LG 등 4대 그룹이 계획을 발표했거나 검토 중인 투자는 약 40조 원에 이릅니다.<br /><br />대부분 반도체,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 중심입니다.<br /><br />이들 기업을 이끄는 수장들도 정상회담에 동행하는데,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SK그룹의 최태원 회장과 삼성전자 김기남 부회장,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,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등이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밖에 미국이 제안한 글로벌 최저 법인세, 현재 도입 논의 중인 디지털세 등에도 우리 측 입장을 정리해 미국과 논의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