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알몸김치 논란'에 검사했더니…식중독균 제품 무더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얼마 전 중국산 알몸 김치 영상이 퍼지면서 소비자 걱정이 눈덩이처럼 커졌죠.<br /><br />그래서 식약처가 수입 김치를 두 달간 긴급 검사했는데, 식중독균이 나온 제품이 무더기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걱정이 현실이 된 셈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종이상자에서 비닐 포장된 중국산 김치가 무더기로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3월부터 두 달간 수입 신고된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, 검출되면 안 되는 식중독균 '여시니아'가 15개 제품에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또 중국산 절임 배추 4개 제품 중 2개에선 절임 식품에 쓸 수 없는 보존료 데히드로초산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통관 단계에서 적발된 물량만 322t으로, 시중에서 쓰는 10kg짜리 상자로 3만 개가 넘는 양입니다.<br /><br /> "(여시니아는) 주로 돼지의 장 속에 서식하거나 오염된 물을 통해서 식품을 오염시키는데, 배추를 절이는 물이 좀 오염된 것 같고요."<br /><br />식약처는 통관에서 차단해 반송·폐기해 유통된 건 없다는 입장이지만, 시판 중인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 1건에서도 세균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시판 수입 김치 30개 제품과 김치 원재료 120개 제품을 추가 검사한 결과, 다진 마늘 1개 제품에서 세균수 기준을 초과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유통된 물량만 72t이고, 이 중 46t을 회수하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식약처는 검사명령제를 통해 수입업자 책임부터 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지정검사 기관에서 검사를 받은 후에 적합한 제품만 신고가 가능합니다. (수입업자에게) 저희가 명령을 하는 겁니다."<br /><br />다만 중국 현지업체 실사가 코로나로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 제대로 된 위생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